청주시의 '선피아(선거마피아)' 5개 단체 종합 감사에서 38건의 위법·부당사례가 적발됐다.

10일 청주시가 공개한 시 산하 체육·문화·봉사단체 감사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시는 이들 단체의 재정 지원금 874만원을 회수 또는 추징하는 한편 회계 직원 17명에게 주의 처분을 내렸다.

생활체육회 16건, 체육회 10건, 자원봉사센터 6건, 장애인체육회 4건, 직지문화협회 2건의 지적 사항이 나왔다.

시는 대회 기간 훈련비 중복 지급, 이자수입과 카드적립 포인트 세입조치 미이행, 물품구입 대금 등 각종 대가 지급 소홀 등 부적정 사례를 다수 적발했다. 시간외 수당이나 출장여비를 부당 수령한 사실도 확인했다.

시군대항 마라톤대회 참가를 주관하면서 참가 선수 등에게 훈련비 400여만원을 중복 지급했으며 직원 초과 근무 확인대장도 없이 시간외 수당을 주거나 지출결의서 작성 등 회계 절차를 준수하지 않고 보조금을 집행했다.

특히 2000만원 이상 물품 구매 용역은 2인 이상의 견적서를 받아야 하는 수의계약 대상이지만 허위 견적서를 이용해 1개 업체에 일감을 몰아준 사실이 적발됐다.

5991만원 상당의 선수단복 구입과 2706만원 상당의 장비·용품 구매에 3개 업체의 견적서를 받은 것으로 돼 있으나 실제로는 1개 업체였으며 6000만원 대 시상품 구입도 2개 업체의 견적서를 받아 수의계약한 것처럼 서류를 꾸민 사실도 확인했다고 시는 밝혔다.

이번 감사는 6명의 감사 담당 공무원을 투입해 지난달 16~27일 열흘 동안 진행했다. 이승훈 청주시장 선거캠프 관계자들이 포진한 산하 단체들에 대한 사실상의 '표적감사'여서 관심을 끌었다.

시는 체육회와 생활체육회 등 단체에 운영비와 보조금으로 연간 각각 7억~8억원의 시 예산을 지원한다. 자원봉사센터는 연 6억여원의 시 예산을 쓴다.

이들 단체의 보조금 사업에 관한 시의 감사는 수시로 이뤄졌으나 운영 전반에 걸친 종합 감사는 2011년 이후 처음이다.

시 관계자는 "고의적인 위법·부당 사례는 발견하지 못했지만 지방계약법에 맞지 않은 수의계약이나 보조금 집행 관련 규정을 잘 몰라 발생하는 업무미숙 사례를 다수 확인했다"며 "단체에 대한 시의 지도감독과 단체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실무교육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