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호남 2석·영남 2석·강원 1석 줄이기로 잠정 합의
내년 4·13 총선의 선거구 획정 논의가 중단된 가운데 충북 8곳 선거구가 그대로 유지될지 지역정가가 촉각을 세우고 있다.
이런 가운데 17일 열린 여야 원내지도부 3+3 회동서 ‘통합지역의 선거구수 감축은 안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청주 4개 선거구 유지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지역정가 등에 따르면 이날 여야의 선거구 협상과정에서 최종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
하지만 호남 2석, 영남 2석, 강원 1석 등 모두 5석을 줄이기로 잠정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구를 현행 246석에서 253석으로 늘리는 대신 비례대표를 줄이기로 잠정합의했다.
잠정합의안이 그대로 적용될 경우 충북은 8석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여야 잠정합의 내용에는 청주의 4곳에서 3곳으로 선거구 감축안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는 통합시로 출범하면서 인구 집계방식이 바뀌어 의석수 감소가 예상됐던 청주(청원과 통합)와 창원(마산과 통합)에 대해서는 구제하는데 인식을 같이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여야 대표단의 합의에도 불구 권역별 비례대표제도 도입 문제로 최종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
지역정가 관계자는 “여야가 최종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통합시인 청주와 창원은 구제해야 한다는데 모두 공감했다”며 “따라서 청주 선거구 4석 유지가 가능하게 됐지만 막판에 논의가 중단됐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국회 정개특위에서 선거구 획정을 다시 논의하게 될 경우 그런 결정이 그대로 적용될지 아니면 변화가 오게 될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며 “지역 국회의원들이 여야 할 것 없이 힘을 모아 청주 선거구 지키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위원회가 현재 4개 청주시 국회의원 선거구를 3개로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자 충북지역이 거세게 반발했다.
청주가 지역구인 새누리당 정우택 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노영민·변재일·오제세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청주시 국회의원 선거구 수의 축소 조정안은 법률적 정당성도 없고 지역 간 형평성에도 맞지 않는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청주 선거구 수의 현행 4개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청원·청주통합추진위원회도 “특별법에 명시한 불이익 배제의 원칙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이라며 “청주 국회의원 정수 축소 시도는 명백한 불법이자 국민 기만행위”라고 반발했다.
균형발전지방분권 충북본부는 “청주시는 통합에 따른 불이익 배제 원칙을 적용받는 지역이며 통합시 출범으로 성격이 도농 복합시로 바뀌었다”며 “반드시 현행대로 4개의 선거구가 유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