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군 29.8% 가장 높고 보은 영동 단양 옥천 초고령사회
충북은 청주를 제외한 모든 시·군이 '고령 사회'로 진입한 가운데 전체 인구 중 노인은 14.7%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 사회는 총인구 중에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14% 이상인 사회다.
1일 충북도에 따르면 올 8월 말 기준으로 도내 65세 이상 인구는 23만2989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5877명이 증가했다.
충북 전체 인구(등록 외국인 제외) 158만1792명 중 14.7%를 차지한다. 인구 1000명 중 147명이 노인인 셈이다.
지역별로 보면 청주시(10.5%)를 제외한 10개 시·군은 모두 '고령 사회'에 해당한다. 이 중 '초고령 사회'(노인 인구 비율 20% 이상)로 진입한 지역은 5개 시·군에 달한다.
괴산군이 29.8%로 가장 높고, 보은군 29.4%, 영동군 26.6%, 단양군 25.3%, 옥천군 24.3% 순이다.
나머지 시·군은 제천시 17.1%, 음성군 17%, 진천군 16.3%, 충주시 16.2%, 증평군 13.9% 등이다.
이 같은 인구 고령화는 출생률과 사망률이 함께 떨어지는 추세여서 갈수록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1년 새 충북의 출생아 수는 8691명에서 9197명으로 506명 증가했다.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광주광역시(463명)와 제주도(285명)를 제외하면 15번째로 낮았다.
이처럼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노인 문제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16만8000여명이 매월 20만원 안팎의 기초노령연금을 받고 있다.
또 소득이나 부양 의무자가 없는 노인 1만4200여명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지정돼 생계급여 등을 받고 있다.
노인복지 수혜자는 수치상으로 18만2200여명이다. 단순 계산만으로도 5만789명 정도가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소득이나 재산이 많아 지원이 필요하지 않은 차상위 계층 등을 제외하더라도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노인은 많다고 사회복지 전문가들은 전한다.
청주의 한 노인단체 관계자는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노인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혜택을 받는 못하는 노인들도 많다"면서 "사각지대에 놓은 노인을 찾아 관심을 두고 보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