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개특위, 특별선거구 의제에서도 빠져 김무성은 '시큰둥'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농어촌 특별선거구제 도입에 대해 "위헌 소지가 있다"는 불가론이 제기되는 등, 농어촌 의원들이 강력 요구해온 특별선거구제 도입은 사실상 물건너가는 분위기다.

새누리당은 24일 오전 국회에서 김무성 대표 주재로 비공개 '국민공천TF' 회의를 열었다.

복수의 참석자들에 따르면 황영철 의원은 김 대표에게 "농어촌 특별선거구제 도입은 편법"이라는 전날 발언을 따지며 특별선거구제 도입을 촉구했다.

김 대표는 그러나 "생각해보겠다"면서 즉답을 피하며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한 의원도 뉴시스와 전화통화에서 "특별선거구제를 도입하는 것 자체가 위헌 소지에 휘말릴 수 있고 당내에서도 이같은 지적 때문에 (특별선거구제를 도입하기는) 난감한 상황"이라며 "어제 정개특위 소위에서도 비슷한 지적이 있었다"고 전했다.

실제 전날 재가동된 정개특위 공직선거법심사소위에서도 농어촌 특별선거구제 자체가 위헌이라는 지적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개특위 소속 한 여당 의원은 "어제 특별선거구에 대한 구체적 얘기가 없었다"며 "특별선거구는 통과되면 위헌심판 청구가 제기될 수도 있고, 그 문제가 불거질 수도 있으니 아예 지역구 의석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특별선거구제 도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야당측 한 정개특위 위원도 "새누리당 농어촌 의원들이 특별선거구 문제를 (의제로) 넣으려고 했는데 김무성 대표도 편법이라고 지적해서 그런지, (여당 특위 위원들이) 제안을 아예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는 또 "위헌 소지도 있다. 제안이 아예 되지 않아 섬세하게 검토하지도 않았다"고 특별선거구제의 위헌성을 강조했다.

새누리당은 이처럼 농어촌 특별선거구제 도입이 사실상 불가능 한 양상에서, 농어촌 의원들을 달래는 '우회로'를 찾는 분위기다.

이와관련 당 관계자는 "만약 지역구 의석수가 259석 정도로 늘어난다면 특별선거구를 할 필요가 없지 않느냐"며 "지역구 수를 늘리는 만큼 비례대표 수를 줄이면 해결 될 문제"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내 농어촌 의원들은 특별선거구 설치로 농어촌 의석수를 담보해달라는 입장이여서, 추석 연휴 직후 열리는 30일 의총에서 농어촌 의원들의 강력 반발이 불가피해 보인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