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시·도 교육감들이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움직임에 반대한다는 공식견해를 분명히 했다.

김병우 충북도교육감과 김지철 충남도교육감, 설동호 대전시교육감,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9일 오전 동시 발표한 공동성명을 통해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를 중단해달라"고 교육부와 정치권에 요청했다.

최근 이어진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황우여 교육부장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관련 발언에 대해 이들은 "우리 교육이 지향해야 할 가치와 거리가 있는 생각"이라며 "국가가 주도하고, 만드는 교과서와 일방적인 가치관으론 창의적 인재를 육성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우리 사회가 이룬 민주주의 가치와 부합되지도 않는다. 선진국은 물론 자유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세계 어떤 나라도 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채택하지 않았다"면서 "국사 교과서를 국정화한 나라는 북한과 베트남밖에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율과 자치의 시대, 공존공영의 세계시민교육 시대에 다시 국정교과서로 회귀하는 건 역사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 일"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어 "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은 또 다른 국론분열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하면서 "국정화 시도를 중단하고 사회 대통합을 위한 역사교육을 고민해주기 바란다"고 거듭 촉구했다.

교육부는 중·고교 역사 교과서를 '국정'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날 역사를 가르치는 전국의 교사 10명 중 8명이 충청권 시·도교육감들처럼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한다는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소속 김태년(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지난 4∼8일 전국 중·고교 사회과 교원 2만41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찬반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하면서 "응답자 1만543명 중 78%인 8188명이 국정화에 반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화에 찬성한다는 의견은 19.8%(2085명), 잘 모르겠다고 대답한 유보층은 2.5%(270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