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개발공사의 청주 새터지구 도시개발사업에 반대하는 주민단체의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 사업에 반대하는 주민들이 결성한 새터지구 도시개발사업 저지투쟁위원회는 26일 청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공사를 강도 높게 비난했다.
이들은 "공공 목적으로 만들어진 공사가 그동안 얼마나 공공개발 이바지했는지 성찰하고 반성해야 한다"며 "창사 이래 서민 공공 임대주택은 단 한 채도 짓지 않았으면서 남의 토지를 강제 수용하는 것이 서민을 위한 공공개발인가"라고 주장했다.
이어 "명색이 충북도가 출자한 지방공사인데 이렇게 여론을 호도하면서까지 토지 강제수용을 밀어붙이려는, 수준 이하의 행위를 하고 있다"고 개탄하면서 "청주시는 새터지구 도시개발사업 구역 지정안을 부결 처리하라"고 촉구했다.
위원회는 전날 공사가 보도자료를 통해 위원회의 주장을 반박한 것에 대한 재반론도 내놨다.
'반대하는 주민은 30%에 불과하다'는 공사의 주장에 대해 위원회는 "찬성 토지주는 2명뿐이고 188명의 주민이 반대, 21명은 유보적인 입장"이라며 "공사는 2.5%에 불과한 찬성률을 70%라고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공영개발로 추진하던 청주 호미지구가 민간개발로 바뀌면서 아파트 분양가가 급상승했다는 공사의 분석에 대해서도 위원회는 "840만원이라는 청주 최고 아파트 평당 분양가를 기록한 가마지구는 공사가 개발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위원회는 "공사는 가마지구 땅을 70만원에 강제로 빼앗아 314만원에 (건설사에)공급했다"며 "헐값이 땅을 빼앗아 아파트 분양가 신기록을 세운 공사가 새터지구에서도 새로운 신기록을 수립하게 될 것"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공사는 전날 "주민협의체를 구성,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고 했으나 위원회는 "여론이 악화하자 이제 와서 달콤한 립써비스를 하는 것"이라며 진정성을 의심했다.
또 청주시 청원구 사천동 24만8000㎡ 터에 2018년 2월까지 1695억원을 들여 신시가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곳에는 아파트 등 2395세대가 들어선다.
그러나 이 사업에 반대하는 주민들은 "도시개발법에 따라 공람이나 공청회를 하고 주민 의견을 들어 반영해야 하지만, 공사는 단 한 차례도 구역지정을 위해 (주민과)협의한 적이 없다"며 사업계획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청주시는 오는 27일 오후 3시 열릴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새터지구를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공사는 청주시의 도시계획시설 결정이 나오는 대로 토지 보상에 나설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