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수요·공급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하반기 발주

청주 지역 아파트 과잉 공급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청주시가 수급조절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나선다.

청주시는 '청주 주택 수요·공급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올해 하반기 중 발주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착수일로 8개월 동안 추진할 이 연구용역을 통해 시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공동주택 공급 물량을 전수 조사해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할 계획이다.

청주 인구 구조와 주거 트렌드 변화 분석, 주택공급 변화 추이와 주택사업 환경 분석, 주택시장과 재고관리 현황 분석 등을 통해 주택정책 수립이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부문별 추진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1~2인 가구 증가 등 세분화하는 청주 지역 주거실태도 조사해 주택정책 중장기 로드맵도 마련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청주 인구 유출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세종시와 대전시, 증평군 지역 주택동향과 전망도 분석해 대처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시에 따르면 3월 현재 청주 지역 주택보급률은 104.43%에 이르지만, 앞으로 4만50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이 더 지어질 예정이다.

32만9147 가구가 34만4055채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공동주택(아파트)이 17만8173채로 가장 많았다. 단독주택은 15만3545채, 연립주택은 1만2337채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정이 이런데도 청주 지역에는 올해 이후 4만5471세대의 아파트가 더 건설될 계획이다. 구도심 재개발·재건축 사업으로 공급될 신규 아파트까지 더하면 양은 더 늘어난다.

동남지구(1만4470세대), 방서지구(3684세대), 호미지구(1281세대), 비하지구(1499세대), 청주테크노폴리스(3272세대), 오송제2생명과학단지(9545세대), 사천지구(3254세대)가 2020년까지 더 건설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무분별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 건설보다는 고령화와 1~2인 가구 증가세 등에 맞춘 새로운 주택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며 "갈수록 침체하는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노후 주거지 정비와 관리방안도 새로 마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