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출신 이원종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장의 연임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2013년 6월 취임한 이 위원장의 임기는 이달말까지다. 규정상 연임이 가능해 이 위원장의 연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연임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위원장의 임기만료일이 다가오지만 아직까지 청와대로부터 아무런 언급이 없는 상태다.
정치현안이 쌓여있어 차기 위원장 내지는 이 위원장 연임 여부가 적극 검토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메르스 사태가 장기화 되는데다 극심한 가뭄까지 겹치면서 불안심리와 소비심리 위축으로 국가경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이에 대통령까지 나서 메르스 사태 종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완구 전 국무총리 사퇴 후 50여일만에 황교안 신임 국무총리로 결정됐지만 그동안의 업무공백이 컸다.
최근에는 국회법 파문으로 정치권이 요동을 치는 등 정국이 어수선한 상황이어서 지역발전위원장 문제를 챙길 여력이 없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지역정치권 관계자는 “메르스, 가뭄으로 온 국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고 정치권도 국회법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어 차기 지역발전위원장 문제를 신경쓸 상황이 아닌 것 같다”며 “메르스 사태 등이 어느 정도 잡히는 시점에 얘기가 나오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일부에서는 다음주 중 이 위원장의 연임 여부에 대한 얘기가 나올 수도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충북도 관계자는 “국정을 진두지휘할 총리가 이제 겨우 결정돼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 만큼 산적한 현안이 많을 것”이라며 “현재까지 차기 위원장 또는 이 위원장 연임에 대한 분위기는 전혀 감지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임기가 만료되는 이번주 중에는 언급이 되지 않겠느냐는 조심스런 전망을 내놓았다.
무보수 명예직인 지역발전위원장 자리이기에 굳이 임기일에 맞춰 차기 위원장 선임 내지는 이 위원장 연임을 결정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그만큼 이 위원장 연임 여부에 대한 결정이 늦어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충북지사 출신인 이 위원장은 지역발전위원회 활동에 적극적이었다. 이 위원장은 2년 동안 충북을 비롯해 전국의 생활권 선도사업 현장을 누비고 다녔다.
지난 25일에는 청주시 오송생멱과학단지 내 C&V센터에서 지역행복생활권 활성화를 위한 충북 생활권협의체 공동협약식도 열었다. 이 위원장은 지역생활권의 지속적인 발전과 주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소통과 협력 강화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이 위원장은 “지역생활권별로 힘을 합쳐 경쟁을 하거나 낭비하는 것을 제거하고 지역간 협력을 통한 주민 삶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며 지역간 협력체제 구축론을 펼쳐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