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영 사회문화부차장

▲ 박소영 사회문화부차장

‘학교 밖 청소년’이라는 말을 곱씹어보자. 해마다 6만 명이 학교를 떠나고 있다. 층북도내에서는 지난해 1000여명이 학교를 나왔다. 여가부에 따르면 지난 2012년 기준으로 학교 밖 청소년 누적 인원은 28만 여명으로 보고 있다.

학교를 이탈한 이들의 사연은 제각각이다. 유학을 갈 수도 있고, 공교육에 생채기를 입고 대안학교를 찾아 나설 수도 있다. 대안학교는 보통 수험료가 80~120만원 선으로 돈이 없으면 보내지 못한다.

문제는 가정해체로 인해 보호받지 못하는 아이들이다. 학교 밖 청소년들에 대한 양극화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발표한 ‘학교환경인식이 학교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보고서에 따르면 빈곤 청소년의 경우 학교환경이 학교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이 비(非)빈곤 청소년보다 1.7배나 컸다.

부유한 가정의 청소년은 학교 이외 장소에서 학교적응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빈곤 청소년은 학교의 영향을 더 많을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학교 밖 청소년들은 한국사회에서 제대로 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다. 검정고시를 졸업해 고졸 자격증을 딴다고 해도 대학을 가지 못하면 또 다시 머무르게 된다.

중소기업에 지원하려고 해도 자퇴자에 대한 인식은 그리 좋지 않다. 이들은 공장에 취직해 단순노동을 하면서 자꾸만 사회의 밑바닥으로 내려갈지 모른다.

학교 밖 청소년들끼리 만나 혼숙을 통해 아이를 낳는 경우도 많다. 이 가정이 한국사회에서 얼마나 큰 어려움을 겪을 지는 눈에 뻔하다. 부모세대에서 이어진 가난의 대물림은 더욱 고착화될 것이다.

학교는 우리사회의 거대한 제도권이다. 학교 밖은 제도권의 이탈이다. 다시 제도권에 진입하기 위해 발버둥을 쳐도 장벽은 높기만 하다. 그 과정에서 아이들은 포기와 체념을 배운다. 자신을 학대하기도 한다. 스스로를 지켜내기엔 많은 힘이 필요하다.

최근 정부가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대적으로 지원한다고 나섰다. 풍문으론 박근혜 대통령께서 이 사업에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여가부는 기존에 ‘두드림 해밀’사업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해왔다. 그런데 이번에는 전국에 200개의 센터를 만들고 본격적인 지원 및 프로그램을 만들겠다고 공표했다.

이 사업이 유행처럼 끝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이번 사업의 예산 또한 복권기금에서 한시적으로 만들어졌다.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화려한 사업 구상만 있는 건 아닌지 묻고 싶다.

정작 학생들이 학교를 떠나 방황하는 동안에는 아무런 도움을 받을 길이 없다. 학교를 떠나 짠~하고 센터를 찾아가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보통 센터를 찾는 데는 6개월에서 1년의 시간이 필요로 한다. 그런데 그 사이 부처 간 연계가 되지 않는데다 개인정보보호법에 걸려 본인이 원치 않으면 일선 지역사회복지기관에서는 정보를 수집하지도 못하게 된다. 가장 힘든 시기, 학생들을 그냥 내버려두고 있는 셈이다. 그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