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의 내분이 점입가경이다. 청주대는 지난 28일 오후 늦게 보도자료를 내 "교무위원회가 사회학과 복과를 결정함으로써 박명원 총학생회장이 단식농성을 풀었고 교수회가 줄기차게 요구하던 교수회의 학칙기구화는 입법예고 단계에 이르렀다"고 했다.

이어 "대학평의원회 규정 개정, 단체협약 체결, 대학혁신발전협의회 구성 등 학내 주요 현안을 대승적 차원에서 모두 수용하기로 했고 교수회 대표와 합의문까지 작성했으나 같은 날 오후 열린 교수회 대의원회에서 (합의문이)부결됨으로써 대학정상화가 물건너갔다"면서 교수회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대학구조개혁평가 면접평가를 앞두고 학내 분규가 종식되리라 기대했던 구성원들에게 커다란 실망을 안겨줬다"며 범대위를 싸잡아 비난했다.
 

하지만, 곧바로 청주대가 이 대학 교수회와 범비대위(청주대 정상화를 위한 범비상대책위원회)에 분규상황을 초래한 책임을 씌우려고 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학 측이 주장했던 내용에 대해서도 반박보도자료가 나왔다.

범비대위는 29일 긴급보도자료를 내 "교수회와 학교당국이 작성했다는 합의서는 존재하지도 않는다"면서 "교수회 대의원회의에서 협의사항이 가결됐다면 추후에 합의서를 작성할 계획이었지만, 대의원회의에서 부결됨으로써 구두 협의사항은 효력을 잃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학생회장이 단식투쟁을 10여 일 만에 중단한 것에 대해선 "황신모 총장 퇴진결의대회에 참석했던 학생들이 건강을 위해 단식을 중단하고 황 총장 퇴진운동을 지휘하라고 요청하자 박 회장이 수용한 것일 뿐"이라며 "완결되지 않은 사회학과 복과 때문은 아니었다"고 반박했다.
 
박 회장은 대학 측의 주장을 근거로 언론보도가 나오자 학교 측에 "보도자료 작성을 지시한 사람에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거세게 항의했다.
 

조상 교수회장이 회장직 사임 의사를 밝힌 배경에 관해 범대위는 "교수회 학칙기구화 교무위원회 의결, 사회학과 복과 등 현안 문제를 원만히 풀지 못한 데 대한 도의적 책임을 지고자 하는 의도일 뿐"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