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역 고수, 청주오송역, 청주·세종역 등 3가지 의견 다수 거론
“툭하면 불거지는 사안···여론조사나 공청회 통해 결론 내리자”

KTX 호남선이 오는 4월 개통된다. 그러면 서울~광주송정간을 곧 KTX 열차로 다닐 수 있다. 이에 따라 분기역인 오송역의 역할에 이목이 쏠려 있다. 그러나 명칭 개정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청주·청원이 통합되면서 오송역 소재지인 오송읍이 청주시 오송읍으로 되자 명칭을 변경하자는 여론이 확산됐다. 지금은 수면으로 가라앉은 상태. 툭하면 이름 개명에 대한 논란이 있는 만큼 차제에 여론조사나 공청회 등을 열어 결론을 내리자는 게 중론이다.

▲ 오는 4월 KTX 호남선 개통을 앞두고 역 명칭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 오송역.

오송역은 KTX 경부선과 호남선이 교차하는 중요한 지점이다. KTX 경부선 오송역은 지난 2004년 개통됐고, 호남선은 오는 4월 문을 연다. 오송역 개명을 공식적으로 제기한 사람은 김기동 청주시 부의장(새정치민주연합·모충, 수곡1·2, 사직1·2). 김 부의장은 지난 2월 2일 임시회 5분발언에서 “호남고속철도 분기역 개통을 앞두고 오송역이 청주의 랜드마크로서 보다 중요시 되고 있는 가운데 청주지역 대다수 시민들이 개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지금이 개명 추진의 골든타임이다. 이승훈 청주시장은 개명에 대한 공론화를 거쳐 합리적 방법으로 추진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변경 명칭 대안으로 △청주역 △청주오송역 △청주·세종역 등 세 가지 안을 제시했다.

이원종 위원장 “오송역 개명 반대"

그러나 오송역 개명에 대한 논란은 현재 크게 3가지로 갈린다. △오송역 고수 △청주오송역 △청주·세종역 등이다. 오송역 고수파는 주로 오송읍 주민들. 오송읍 이장단협의회와 주민자치위원회, 새마을지도자회 등 오송읍 직능단체 관계자들은 지난 2월 3일 오송역 개명 여론에 반대 의견을 분명히 했다. 김기동 부의장이 개명하자고 나선데 대한 입장 표명이었다.

직능단체 관계자들은 “개명 발언에 오송읍 주민들은 분노한다. 망언자는 충북을 떠나라. 주민 갈등을 조장하는 오송역 개명 발언 용납 못한다. 시대착오적인 개명 발언 즉각 중단하라”는 내용의 플래카드를 오송역 인근에 걸었다.

그리고 오송을 지금의 오송으로 키운 사람들도 오송역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충북도 전·현직 관계자들이다. 지난 2002년 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를 처음 열었던 이원종 지역발전위원장은 “충북의 바이오산업을 한국의 바이오산업으로 만족하려고 했다면 2002년 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를 청주국제바이오엑스포 또는 충북국제바이오엑스포라고 명명했을 것이다. 그러나 오송이라는 명칭을 썼다. 오송은 앞으로 세계속의 오송이 될 것”이라며 “남북통일 이후 호남고속철이 오송을 통해 충주-제천-원산-청진-블라디보스톡-시베리아-독일-런던까지 가는 시베리아 철도로, 경부고속철이 서울-평양-신의주-청진-북경을 거쳐 중국대륙철도로 연결되는 X축을 생각하면 크게 내다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위원장은 “오송(Osong)은 충북, 청주보다 외국사람들이 발음하기에도 좋다. 오송역 이름을 바꾸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시종 지사는 이에 대해 공식의견을 밝힌 적이 없고, 충북도 관계자도 ‘노 코멘트’로 일관했다. “이 문제를 검토한 적이 없고, 역 명칭을 개명한다 하더라도 청주시에서 할 일”이라는 게 이유였다. 하지만 겉으로는 이렇게 말해도 충북도는 오송역을 존치해야 한다는 입장이 더 강한 편이다. 그동안 오송분기역과 첨복단지 유치, 오송생명과학단지 조성 등에 관한 업무를 충북도가 주도적으로 해와 이름에 대한 애정이 많다.

이경기 충북발전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개인 의견임을 전제로 오송역을 그대로 유지해야 하는 이유를 밝혔다. 그는 “오송은 1100년전 신라 말 최치원 선생이 다섯 그루 소나무를 심어 五松으로 불렸다는 전설이 있는 곳이다. 이런 역사성이 있는데다 작은 부락을 큰 도시로 키운 상징성이 있다. 이제 오송은 바이오분야를 선도하고 있고, 행복도시의 관문역 역할을 한다. 그런데 통합되고 나니 큰 지역인 청주시가 작은지역인 오송을 잡아먹으려는 형국”이라며 “외지인들이 오송을 잘 모른다고 하는데 여러 번의 국제행사를 통해 많이 알려졌다”고 말했다.

청주시 “우리는 말 못해···시민의견이 중요”

청주오송역으로 개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오송역의 대외인지도 제고를 가장 큰 이유로 든다. 오송이 읍 명칭에 불과하기 때문에 청주라는 이름을 붙여 소속을 분명히 하면 대외인지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얘기다.

전직시장·군수들은 지난 1월 28일 이승훈 시장과 만난 자리에서 청주오송역으로 바꾸자고 주장했다. 김현수 충북발전범도민연대 회장은 "충북선 철도 역사(驛舍)를 오송리에 만들면서 오송역이 됐지만, 고속철도 분기역으로 성장한 지금은 부적합하다"며 "청주시가 오송역 개명을 추진하면 충북발전범도민연대도 적극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그런가하면 세종시까지 끌어안는 청주·세종역도 대안으로 나왔다. 세종시가 지난 2013년 ‘2030 세종도시기본계획’에 KTX 세종역 신설 내용이 들어간 뒤 충북도는 국토부에 이를 확인하고 반대성명을 발표하는 등 한바탕 난리를 치렀다. 하지만 서울에서 세종시로 출퇴근하는 정부부처 관리들이 세종역 필요성을 강조하고, 수도권언론들이 이를 부추기면 언제든지 다시 터져나올 수 있는 문제다. 이렇게 되면 세종시 관문역 역할을 해야 할 오송역의 위상은 대폭 쪼그라들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세종역 설치 논란을 잠재우고 통 큰 관점에서 세종시까지 포함하자는 안이 청주·세종역이다.

한편 이승훈 시장은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에 말하기 어렵고, 시민들 사이에 역 명칭을 변경하자는 여론이 형성되면 그 때 가서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청주시 관계자는 “청주시로서는 뭐라 말할 수 없다. 시민들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다. 지자체에서 역명 개정신청을 해도 시민 반대가 있으면 안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역명을 변경하려면 지자체에서 시민의견을 수렴한 뒤 철도시설공단에 역명개정신청을 낸다. 공단은 이를 검토한 뒤 타당하면 국토부에 올리고, 국토부는 역명심의위원회를 열어서 결정한다. 개명에 따른 모든 비용은 지자체가 부담해야 한다. ‘산 넘어 산’이기 때문에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청주시민들은 벌써 여러 차례 오송역 개명 문제가 나온 만큼 여론조사를 하든지 공청회를 열어 의견수렴을 하든지 합리적인 방법을 택해 결론을 내자고 입을 모았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