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 이어 한국교통대도 창업선도대학 선정 국비 지원
청주대 창업교육센터 개설…대학마다 창업보육센터 운영

창업동아리를 비롯해 창업보육센터 등 각 대학이 창업을 지원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가운데 지난 26일에는 한국교통대가 충북에서 두 번째로 창업선도대학에 선정돼 지역 내 예비 창업자들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창업선도대학은 현재 도내 대학에서 운영하는 창업지원 프로그램 가운데 체계적인 지원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 데다 해당학교 학생은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창업지원과정이 열려 있어 창업을 준비하는 지역민들에게 도움이 될 전망이다.

2011년 출범한 창업선도대학은 출범 첫해 15개 대학을 선정됐다. 그 가운데 하나가 충북대다. 그리고 해마다 2~3개를 추가 선정했고, 최근 한국교통대를 포함해 7개 대학을 추가로 선정해 전국에 28개 대학이 지정, 운영될 예정이다.

▲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이 확대되면서 예비창업자의 선택의 폭도 커질 전망이다. 지난해 11월 열린 충청권창업페스티벌에 참가한 창업동아리 학생들.
창업선도대, 일반인에 더 큰 혜택
창업선도대학은 예비창업자를 선발하고, 교육과정을 거쳐 실제 창업으로 이어지는 전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창업 시에는 창업자금 최대 7000만원을 지원하고, 이후로도 안정적인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저비용으로 창업보육센터 내 사무실을 이용할 수 있다.

충북대의 경우 창업보육센터 입주기간을 3년으로 제한하고 있지만 이 과정이 끝나도 또 다른 시설인 POST-BI(스타기업 육성과정)에 입주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어, 사실상 창업 후 8년간 운영비용 부담을 덜 수 있다. 한국교통대 또한 이와 유사한 과정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창업선도대학의 창업지원과정은 무엇보다 일반인에게도 대부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점에서 관심을 가질 만 하다. 창업지원단 조용근 팀장은 “근거법에 의해 선도대학이 운영되는 해당학교 출신이 30%를 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시 말해 70%이상이 충북대생이 아닌 타 학교 학생을 포함한 외부인이란 것”이라고 설명했다.

충북대 창업지원단의 지난 3년간 창원지원예산을 살펴보면 학생 창업지원에 11억 9600만원을 집행한 반면, 일반 창업지원 예산으로 83억 8400만원을 지원했다. 학생지원예산은 창업동아리 운영과 창업강좌 지원, 창업페스티펄 및 각종 경진대회에 사용되는 반면, 일반 창업지원예산은 시제품 제작비와 연구비, 경영 및 지적재산권, 마케팅 비용 등 실질적으로 회사를 꾸려나가는데 지원된 것으로 확인됐다.

조 팀장은 “첫 해에는 정원을 채우는 데에도 애를 먹었지만 최근 모집한 창업사업화지원사업에는 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할 정도로 예비창업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창업사업화지원사업은 지원액이 가장 큰 사업으로 회사를 설립하고, 이 과정에서 최대 70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해마다 공모가 진행되며 사업 아이템을 정하고 간단한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심사에 참여할 수 있다.

창업선도대학으로 선정된 충북대와 한국교통대 외에도 도내 대부분의 대학들이 창업과 관련한 강좌 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청주대의 경우 올해 창업교육센터를 신설할 계획이다. 2013년부터 교육부가 추진한 ‘대학 창업교육 5개년 계획’의 일환이다. 대학 창업교육 5개년 계획은 한마디로 대학생들이 쉽게 창업할 수 있도록 창업에 필요한 교육을 진행하고, 약간의 자금지원도 하는 것을 말한다.

창업선도대학만큼 지원 폭이 넓지는 않지만 창업과 관련해 전반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 밖에도 도내 대부분의 대학에서 창업보육센터를 운영하고 있고, 창업동아리를 비롯해 창업과 관련해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하는 등 청년 창업을 지원하고 있다.


넘쳐나는 창업동아리, 실적은 ‘미미’
1년 새 50% 증가했지만… 지도교수 가점용으로 전락

2013년 말 교육부는 대학 창업교육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대학 교육 전반을 창업 진화적인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다. 

정부는 대학에 창업휴학제를 도입하고 창업을 대체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도록 권고했다. 창업동아리를 지원하고 창업교육센터 설립과 창업캠프나 아이디어 경진대회  개최 등 창업 관련 지원책도 마련했다.

그 결과 많은 대학들이 교육부의 권고사항을 받아들였다. 충북대도 지난해부터 창업휴학제를 도입해 창업으로 인해 휴학할 경우 연속해서 3년간 휴학이 가능하다. 올해부터는 창업을 할 경우 6~18학점을 인정하는 것과, 창업동아리 활동에 대해 3~6학점을 인정하는 것을 검토 중에 있다.

대학마다 창업동아리가 확대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정부가 대학 창업교육 5개년 계획을 발표한 후 지난 1년간 전국적으로 2000여개였던 창업동아리는 1000개 이상 늘어나 3000개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IT관련 학과 중심으로 창업동아리가 운영되고 있는데 도내에서도 대학마다 10~30여개의 창업동아리가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 창업으로 이어지거나 적극적인 활동을 하는 동아리는 많지 않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가장 활성화됐다는 충북대의 경우에도 현재 39개의 창업동아리가 운영되고 있지만 실제 창업으로 이어진 것은 많지 않다.

한 대학 관계자는 “재정지원사업 평가지표에 반영되다보니 정부의 권고를 받아들여 대개의 대학들이 창업동아리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활동하지 않는 동아리도 많다”고 설명했다. 지도교수가 되면 교수 평가에도 가점이 주어져 형식적으로 운영하는 곳도 적지 않다는 게 대학 관계자의 설명이다.

부처간 중복투자도 개선돼야 할 점으로 지적된다. 교육부는 물론 중소기업청, 매래창조과학부 등 정부부처와 지자체도 개별적으로 창업지원 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부처간 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한 관계자는 "청년창업지원이 경쟁적으로 진행되다보니 중복지원의 문제가 발생한다. 관련부처를 통합해 지원체계를 일원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