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호남고속철 종합운영계획 인가 신청
대전 “정차 횟수 늘려야” vs 충북 “경유 반대”
충북·세종, KTX세종역 신설문제도 시한폭탄
KTX호남고속철도의 서대전역 경유 논란이 다시 불거지면서 수면 아래에 있던 충청권의 고속철도 역사와 제2경부고속도로 신설 갈등의 기폭제가 될까 우려되고 있다.
최근 코레일은 국토교통부에 충북 오송에서 광주 송정역을 연결하는 새 고속철로(182.3㎞) 개통을 앞두고 운행 횟수와 구간 등을 담은 ‘호남고속철도 종합운영계획’ 인가를 신청했다.
이 계획안에는 하루 왕복 50회 안팎인 KTX서대전역 정차 횟수를 대폭 줄이는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KTX서대전역 정차 횟수가 줄어들 경우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 대전지역의 불만이 나오고 있다.
특히 대전지역에서 횟수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서대전역 경유 논란은 지난해 지방선거 때 불거졌었다. 당시 선거를 앞두고 이슈로 등장했다.
대전시장 후보들이 호남고속철도 서대전역 경유론을 주장하자 충북에서 반발했다. 서대전역 경유시 오송분기역의 역할 축소로 지역경기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데 따른 것이다.
KTX서대전역 논란은 6·4 지방선거가 끝난 후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으나 코레일이 최근 ‘호남고속철도 종합운영계획’ 인가 신청을 하면서 다시 시작됐다.
KTX서대전역 문제 뿐 아니라 제2경부고속도로 문제도 심상치 않다.
충북과 세종 간 갈등을 빚고 있는 현안인 제2경부고속도로 신설 논란은 지난해 12월 초 관련 예산이 최종적으로 올해 국가예산에서 빠져 일단락됐다. 당시 충북은 세종의 제2경부고속도로 신설에 맞서 중부고속도로 확장을 주장, 국가 예산을 요구했었다.
국회 예산 심의과정에서 두 사업 모두 국비가 확보됐지만 마지막 계수 조정과정에서 빠져 사업 추진이 어렵게 됐다.
하지만 부동산 업계 등에서는 제2경부고속도로 신설을 기정 사실화하고 있다. 국가프로젝트인 제2경부고속도로 신설 문제가 지난해 말부터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지만 언제 터질지 모르는 충북-세종 간 갈등의 시한폭탄인 셈이다.
KTX세종역 신설 문제도 세종시가 도시계획에 포함시킨 만큼 언제든지 표면화될 가능성이 있다. 세종역 신설 역시 충북이 오송역 역할 위축을 이유로 강력히 반대하고 있는 민감한 사안이다.
지역정가 관계자는 “KTX와 제2경부고속도로 문제는 충북을 비롯해 충청권 지자체 간의 이해관계가 미묘하게 얽혀있는 사안인 만큼 언제든지 폭발할 가능성이 있다”며 “서대전역 경유 문제가 기폭제가 될 수 있다. 지역정치권이 슬기롭게 대처하지 못하면 갈등이 증폭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