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상 편집국장

▲ 권혁상 편집국장

2014년말 도내 신문방송은 나름의 기준에 따라 10대 뉴스를 선정 보도했다. 분야별로 지역 파급효과나 희소성, 파격성 등이 그 기준이 될 수 있다. 사회 각 분야 중에는 제4의 권력이라 부르는 언론을 빼놓을 수 없다.

따라서 언론분야의 주요 이슈도 한해의 10대 뉴스에 당연히(?)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지역 언론계 이슈를 한해 주요 뉴스로 다룬 적은 거의 없다. ‘중이 제 머리 못 깎는’ 처지이거나 ‘제 얼굴에 침뱉기’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 알권리’를 내세우지만 한편으론 ‘알리지 않을 자유’도 누리고 있는 셈이다.

‘도민의 알권리’ 측면에서 2014년 언론 주요뉴스를 꼽아보면 대략 서너가지로 압축된다. 올들어 민선 6기 출범직후 벌어진 이근규 제천시장과 출입기자단의 갈등이 예사롭지 않았다. 취임직후 지역일간지 출입기자단은 ‘풀기사’(공동소스 기사)로 김 시장에게 융탄 폭격을 퍼부었다.

김 시장은 이미 편성돼 있는 언론사 홍보예산을 집행하지 않으면서 버텼다.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알만한 시민은 다아는 사실’이 돼버렸다.

결국 11월들어 슬그머니 홍보예산을 풀면서 갈등은 마무리됐다. 정작, 시민들은 무엇이 원인이고 진실인 지 알지 못한채 끝을 맺었다. 3개월간 쏟아냈던 무수한 비판기사가 제천시정을 바로잡는데 어떤 기여를 했는지 궁금하다. 아울러 장기 대치전으로 지역 여론을 흉흉하게 했던 이시장은 무엇을 얻었는지 묻고 싶다.

지역 신문사간의 갈등속에 불거진 충북예총 회장 자격시비도 문화 또는 언론분야 10대 뉴스감이다. 예총회장 선거당시 동양일보 조철호 회장의 입후보 자격 문제를 단독 보도한 신문은 충청일보였다.

뜻밖의(?) 특종보도에 지역의 이목이 집중됐다. 배경을 알고보니 이미 충북예총측에서 충청일보의 예총 음성행사 보도와 관련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 상태였다. 고소배경을 조 회장으로 판단한 충청일보가 ‘멍군’으로 응수한 셈이었다. 의혹은 구체적으로 불거졌지만 정작 예총 내부에서 더 이상 문제제기를 하지않아 사태는 일단락됐다.

마지막으로 지난 연말 지역언론이 속앓이만 할 뿐 드러내 놓지 못하는 사안이 발생했다. 음성군의회와 진천군의회가 2015년도 세입세출 예산안을 조정하면서 언론 홍보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 음성군은 홍보광고료 4억6천만원 가운데 절반인 2억3천만원을 삭감시켰고 진천군은 홍보 예산 1억4천만원을 잘라냈다.

지자체 광고비중이 늘어나는 현실에서 밥그릇이 작아진다면 지역신문은 긴장할 수밖에 없다. 이후 음성군의회를 겨냥한 비판기사가 연이어 터져나오고 있다. 진천군의회 관련해서는 모 군의원이 홍보담당 직원에게 “언론 홍보예산을 올릴 경우 이유여하 관계없이 삭감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는 풀기사를 6일자 신문에 일제히 보도했다.

지방의회의 예산 심사권은 고유 권한이며 언론 홍보 예산도 삭감 대상이 될 수 있다. 지방의회와 언론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부여받은 권한을 사용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기준과 원칙이 사라진 권한행사는 자칫 폭력이 될 수 있다. 언론 홍보 예산 중에서도 옥석을 가려 심사한다면 박수받을 일이다. 특히 지자체의 비판기사 ‘무마용’ 단체장 ‘홍보용’ 예산은 지방의원들이 솎아내는 것이 당연하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