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대책위 "과학벨트 삼각 분산배치 검토" 강력반발

2011-04-08     충청타임즈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수 세종시대책위원회(상임위원장 한상운,이하 대책위)는 “언론보도에 의하면 교육과학기술부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대전 대구 광주 세 곳으로 쪼개어 사실상 벨트가 아닌 일반 대학 연구소 지원과 다를 바 없는 ‘삼각벨트’ 방안을 청와대에 보고했고, 이명박 대통령은 과학벨트 입지선정을 앞두고 특정지역단체장을 만나 오찬을 하면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경북 분산배분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한다” 며 입장을 발표했다.

대책위는 “교과부의 청와대 보고내용과 대통령의 발언이 사실이라면, 신공항 문제에 대한 보상으로 과학벨트를 활용하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분산배치가 없음을 시사했던 정부의 신뢰를 저버리는 것이며 과학벨트는 정치논리가 아닌 과학계 스스로가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그 동안의 이명박 대통령 본인이 언급했던 발언과 약속을 또다시 부정하고 뒤집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이와 더불어 “지난 4월 7일 구성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의 위원 20명중 거의 절반인 9명이 영남권 출신이고 충청권 출신은 단 2명으로 위원회의 구성 자체가 공정하지 않은 것으로 입지선정을 공정하게 할 수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힐난했다.

대책위는 “‘대통령의 공약인데 설마…’란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던 우리 충청인들은 최근 대통령과 정부 정치권에서 공식, 비공식적으로 나오고 있는 분산배치 언급이 혼란스럽고 개탄스럽다”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특히, “과학벨트 입지결정과 관련 과학계의 다수가 분산입지 시켜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절대적인 의견임에도 불구하고, 정치적인 결정은 고려하지 않겠다고 누차에 걸쳐서 강조했던 정부와 대통령이 이제 와서 분산배치 가능성을 내비친 것은 세계적인 석학이 모여 과학 랜드마크로 만든다는 과학벨트의 과제는 허상일뿐이며 국가 미래성장 동력으로 구상된 과학벨트 자체를 포기하겠다는 것을 선언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을 밝혔다.

“우리의 이런 혼란과 심각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우리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당초 구상안대로 정상추진되는 것에 대한 기대감을 저버리지 않을 것이며, 만약에 우리의 기대감을 저버리고 신공항문제에 대한 보상과 지역적인 이해관계로 과학벨트를 분산되도록 결정한다면 우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수 세종시대책위원회에서는 8만 군민과 500만 충청인들과 함께 대통령과 정부를 인정하지 않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충청권 민심의 폭발은 대통령과 정부에 의해 조장됐고, 그 책임도 역시 대통령과 정부에 있음을 우리는 분명히 밝히는 바이다”라고 경고했다.

특히 대책위는 “다시 한 번 강조컨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분산 배치는 국민권익에도, 국익에도, 국가의 미래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대통령과 정부는 과학벨트 분산 배치 음모를 즉각 중단하라”고 강력히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