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ㆍ청원 통합운동 등 10대 시민운동 선정

2006-01-05     홍강희 기자
충북시민단체연대회의는 신년인사회에서 ‘충북지역 2005 10대 시민운동’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충북지역사회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많이 받고 핫 이슈가 됐던 운동들을 정리한 것이다.

우선 청주·청원 통합운동이 꼽혔다. 지역민의 오랜 숙원이었던 통합문제는 올해 주민투표로까지 발전시켜 시민운동의 쾌거로 기록됐다. 비록 주민투표 결과상으로는 통합이 무산됐지만 주민의 뜻이 어디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던 것으로 평가됐다. 그리고 하이닉스사태 해결을 위한 운동과 비정규직 철폐운동이 뒤를 이었다. 2005년 12월 25일로 하이닉스 매그나칩 하청지회 노동자들이 거리로 나선지 1년이 돼 각계각층에서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으나 아직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또 원흥이생태공원조성운동이라는 대대적인 운동이 벌어져 두꺼비가 서식할 수 있는 단지내 생태공원이 조성됐고, ‘성매매 방지와 보호등에 관한 특별법’이 2004년 9월 시행됐으나 아직도 사회지도층 남성들이 여성에 대한 직장내 성희롱을 일삼고 있어 지역내 성희롱사건 대응운동이 펼쳐졌다. 충북에서는 영동부군수 성희롱 사건이 대표적인 예. 시민사회단체가 이 문제 해결에 힘을 보탠 결과 전 영동부군수가 공직에서 물러나고 성희롱 사건에 대해 다시 한 번 환기시켰다.

화상경마장 반대운동과 행정도시 지속추진운동, 새충청일보 도민주운동도 10대 시민운동에 선정됐다. 그중 화상경마장 반대운동은 역사상 최대 규모인 140여개 시민사회단체들이 힘을 모아 충북도 행정심판위원회 기각 결정을 끌어내는 성과를 거뒀다.

그리고 행정도시 지속추진을 외친 덕분에 당장 올해부터 행정중심도시 건설이 본격 시작되게 됐다. 분권-분산이라는 시대 흐름과 지방살리기 차원에서 시작된 행정수도건설이 비록 행정중심복합도시로 마무리됐지만, 충북의 시민운동단체는 다른 지역과 연대해 행정도시 지속추진을 줄곧 주장했다. 아울러 한반도전쟁반대 통일운동과 장애이동권 확보운동도 포함됐다. 가장 약한 사람이 편해야 모두가 편하게 된다는 진리를 보여준 장애인이동권확보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한 덕분에 청주시는 저상버스 도입을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