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민 ‘로드러너’에 충북지역 라이더‧점주도 반발…상경투쟁

라이더유니온, 한국인이 낸 배달수수료, 해외본사로 유출돼…부담은 소비자 몫

2025-11-25     김남균 기자
25일 오토바이를 이용해 배달노동에 종사하는 운전자(=라이더)로 구성된 ‘공공운수노조 라이더유니온지부 충북지회’(이하 라이더유니온)가 서울 상경투쟁에 나섰다. (사진은 지난 4월 열린 배달노동자 결의대회 장면)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이 도입한 새로운 라이더 앱 ‘로드러너(Roadrunner)’에 대해 충북지역라이더와 점주들도 상경투쟁에 나서는 등 반발하고 나섰다.

25일 오토바이를 이용해 배달노동에 종사하는 운전자(=라이더)로 구성된 ‘공공운수노조 라이더유니온지부 충북지회’(이하 라이더유니온)가 서울 상경투쟁에 나섰다.

라이더유니온에 따르면 25일 오후 3시 서울 배민 본사앞에서 ‘배민 로드러너 도입저지 공동투쟁 결의대회’가 열린다.

충북지역에선 20여명의 라이더와 점포주들이 참여한다.

‘로드러너’는 배민의 모회사 딜리버리히어로(DH)가 개발한 글로벌 배차시스템이다. 현재 경기도 화성시와 오산시에서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배민은 ‘로드러너’를 운영하면서 기존 시스템과 여러 가지 변화를 줬다.

우선 라이더들의 배달 노동방식을 변경했다. 이전에는 라이더들이 원하는 시간에 앱에 접속해 배달요청을 수락하는 구조였다.

‘로드러너’ 시스템에선 라이더가 배달 가능한 시간은 사전에 예약(시프트 근무)하는 식으로 변경했다.

배민은 라이더에게 성과기반 등급을 부여해 등급이 높을수로 배달 우선권을 부여했다.

주문이 가능한 거리 범위를 대폭 축소했다. 주문 가능 반경을 800m~1㎞로 대폭 축소했다.

배달라이더와 점포주가 반발하는 이유

라이더유니온은 ‘로드러너’에 대해 “배달노동자에게 기본급 없는 스케즐제이며, 상점주에게는 거리 제한을 통해 매출을 제한하는 구조”라고 단정지었다.

이들은 “배달노동자는 근무시간을 미리 예약해야 하고, AI 평가에 따른 등급제 아래에서 높은 등급에게만 유리한 시간대가 배정된다”며 “배달노동자는 높은 등급을 얻기 위해 무리한 운전과 과도한 업무 강요에 시달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점포주의 경우 주문가능지역 거리를 축소해 매출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라이더유니온은 “화성·오산 지역의 로드러너 시범 운영은 상점 노출 반경을 기존 약 4 km에서 1 km 이내로 대폭 줄이는 방식으로 운영됐다”며 “이에 단골 손님과의 연결이 끊겨 매출이 급감했다는 상점주들의 절박한 목소리가 나온다”고 전했다.

국부 해외유출 우려도 제기

라이더유니온은 배달노동자들의 노동권 악화 뿐만 아니라, 배민이 배달중개수수료를 해외로 빼돌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로드러너 시스템은 배달의민족 모기업인 딜리버리히어로가 직접 개발한 배달중개앱으로, 도입 즉시 지급 수수료 일부가 해외 본사로 이전되는 문제까지 내포하고 있다”고 밝혔다.

라이더유니온은 “DH는 우아한형제들을 인수한 후 2년간 9,499억 원 이상을 해외 본사로 송금했다”며 “자본 유출에 따른 부담은 고스란히 한국의 배달노동자, 상점주,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배달의민족은 로드러너 도입을 즉각 중단하고, 배달노동자의 노동조건·상점주의 영업권·소비자의 선택권을 모두 보장하는 플랫폼 구조로 복귀해야 한다”며 “정부와 국회는 플랫폼기업의 일방적인 시스템 전환으로 인한 피해를 막을 제도적 장치를 긴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정치권도 비판한 배민의 ‘로드러너’

노동계 뿐만 아니라 정치권도 배민과 로드러너에 대한 비판에 가세한 상황.

지난 10월 14일 진행된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배민과 로드러너의 문제점이 지적됐다.

이날 국감에는 배민운영사인 김벅석 우아한형제들 대표가 참석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강일*더불어민주당, 청주상당)국회의원은 “배민 등 배달 플랫폼 업체의 등장 이후 입점업체의 영업이익률이 9%대로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자체적으로 전국의 입점업체를 조사한 결과, 이들이 부담하는 최근 배달 플랫폼 수수료율이 지난 2020년 평균 5~15%에서 2025년 25%~30%까지 폭등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 그릇, 1인분 서비스 등을 통해 겉으로는 소비자 할인 혜택을 내세우고 있지만, 실제로는 자영업자에게 20% 이상의 할인률을 강제하며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입점업체가 자체 부담으로 플랫폼의 쿠폰 등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 역시 부당한 구조"라며 "배달 플랫폼이 독점적 지위를 남용한다면, 법적 규율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신장식(조국혁신당, 비례)국회 의원은 우아한형제들의 자회사인 우아한청년들의 산업재해율을 짚었다.

신 의원은 "조선소보다 산재율이 높은 곳이 우아한청년들"이라며 "올해 7월 일방적으로 라이더의 배차 수락 시간을 60초에서 40초로 단축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과거에는 배달을 수락하지 않을 경우 자동 취소가 됐지만, 이제는 선택하지 않으면 아예 거절한 것으로 처리돼 불이익이 증가했"며 "결국 라이더들에게 운행 중에도 휴대폰을 보게끔 강요하고, 목숨을 걸고 일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창민(사회민주당, 비례)국회의원은 딜리버리히어로(DH)의 배송 시스템인 로드러너 도입에 대해 집중 질의했다.

한 의원은 "배민은 올해 부터 오산 동탄에 배민커넥트 대신 로드러너를 시범 도입했는데, 부정확한 지도와 정산 등으로 라이더는 물론 소비자들의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로드러너는 '파트너 거리 제한'으로 소비자 경우에는 선택 가능한 가게가 사라지고, 라이더는 스케줄 근무 등급제 때문에 열악한 노동 환경에 내물리고 있다"며 "로드러너는 고정된 근무 스케줄, 등급제로 사실상 라이더를 고용 노동자처럼 다루고 있지만, 각종 수당과 4대 보험 혜택 등은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한 의원은 김범수 대표에게 “DH 강요로 선진 시스템을 버리고 후진적인 시스템을 도입한 것은, 그간 회사의 혁신 성장을 이끌어온 사내 임직원들의 노력을 모욕하는 것 아닌가"라고 되물었다.

한 의원은 로드러너 도입이 DH에 더 많은 금액을 보내기 위한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로드러너는 현재 시범 운영 중인 서비스"라며 "우아한형제들의 기술자들과 함께 피드백을 수용해 부족한 점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