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주민들, “수도권 전력 공급에 왜 농촌이 희생되나”

고압 송전선로 통과 반대, 세 번째 대규모 궐기대회…정영철 군수도 연단 섰다

2025-11-19     오옥균 기자

국책사업인 '신장수~무주영동 송전선로 건설'에 반발하는 영동군 주민들이 세 번째 대규모 궐기대회에 나섰다.

영동군 송전선로 반대대책위원회는 19일 오후 영동읍 회전로타리에서 현수막과 피켓을 들고 "영동의 산하를 관통하는 송전선로와 개폐소 건설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집회에는 정영철 영동군수, 신현광 군의장 등 지역 정치인들도 동참했다.

주민들은 "지역에서 소비할 전기는 그 지역에서 생산하는 '지산지소(地産地消)' 원칙을 지켜라"라고 외쳤다. 수도권과 경기권 산업시설에 전력을 공급한 일이니 농촌 지역을 희생양으로 삼지 말고 그 지역에서 알아서 하라는 논리다.

대책위는 "전기는 서울·수도권으로 올라가지만 피해는 영동 주민의 몫"이라며 "우리의 건강, 농토, 삶을 송전탑과 개폐소가 짓밟도록 두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포도와 와인, 국악의 고장이라는 영동의 정체성은 초고압 송전탑과 개폐소만으로도 무너질 수 있다"며 "집값은 떨어지고, 농지 가치는 하락하고, 지역의 미래 산업은 철탑 아래 시들어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주민들은 송전선로 노선 재조정, 분산형 전력체계 검토, 주민 참여 검증 절차 마련 등 대안을 논의할 것을 요구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은 전북·충청권에 345kV급 초고압 송전선과 개폐소를 설치하는 '신장수~무주영동 개폐소(PPS/Y) 송전선로 건설'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국책사업으로, 예정 준공일은 2031년 12월이다. 총 길이는 58.5㎞이며, 위험시설로 여겨지는 개폐소는 영동군 양강면에 들어설 예정이다.

대책위는 이미 7월과 8월 두 차례 차량 시위를 벌였고, 한전 본사 앞 1인 시위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