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년들, 오송참사 추모비 연내 설치 촉구
‘747오송역 정류장’, 추모·위로 글 2000여점 전시
충북지역 청년들이 충북도의회에 오송참사 추모비 설치를 거듭 촉구했다.
오송참사를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해 만들어진 ‘747오송역 정류장’ 소속 청년들은 29일 오전 충북도청 서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충북도의회가 추모비 설치비 5000만 원을 전액 삭감한 것을 지적하며, “‘행사가 많은 공간’이라는 이유가 추모의 부적합 사유가 될 수 없다. 오히려 수많은 도민이 오가는 장소이기에 기억과 경각심의 효과는 커진다”며 “추모비는 혐오시설이 아니다. 공동체가 책임을 공개적으로 확인하는 표지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충북도의회 상임위·예결위·본회에서 의원들은 ‘절차 부족’, 행정 공간 부적절‘, ’공론화 필요‘ 등을 이유로 도청 내 오송참사 추모비 설치 예산을 삭감한 바 있다.
그러면서도 충북도의회는 ‘정부는 오송참사를 국가적 재난으로 인식하고 기억과 위로 진정한 추모와 치유의 길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부에 국가적 추모사업을 건의, 사회적 질타를 받았다.
유가족을 비롯한 생존자 시민대책위는 “지방의회 책무를 포기한 역사상 가장 부끄러운 결정”이라며 강력 항의, 오는 11월 예정되어 있는 도의회 430회 정례회에서 3차 추경안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촉구했었다.
‘747오송역 정류장’ 또한 “지방정부가 할 수 있는 첫 과제를 스스로 미루고 중앙에 떠넘기는 선택”이라며 “지역에서 추모조형물 하나 못 세우면서 국가 추모를 말한다면, 지방의회의 존재 이유는 무엇인가. 도의회는 유가족과 도가 합의한 지역의 약속부터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747오송역 정류장’은 지난 2년여간 충북도민들이 메모지에 적은 추모글과 위로 글을 전시하며, “예산은 삭감할 수 있을지언정 도민의 기억은 삭감할 수 없다”고 추모비 연내 건립을 시행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