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참사 이후 벌써 세 번째 합동차례…일상 회복은 언제?
6일 추석을 맞아 오후 3시 청주시청에 설치된 시민분향소에서 오송참사 희생자 추석 합동차례가 열렸다.
2023년 7월 참사가 발생한 이후 벌써 세 번째 추석 합동차례다.
합동차례에는 오송참사 희생자 유가족과 시민대책위원회, 박완희 청주시의원등이 참석했다.
오송참사가 발생한지 2년이 훌쩍 넘었지만 유가족들의 일상 복귀는 기약이 없다.
유가족들은 지금도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검찰이 김영환 충북도지사에 대해 중대재해법 위반혐의에 대해 무혐의 처리 하면서 유가족들의 진상규명요구는 더 거세지고 있다.
지난 9월 진행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진행한 국정조사에서도 검찰 수사가 미흡했던 부분이 여러군데에서 지적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오송참사 진상규명을 위해 재수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사고 발생한지 2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진상규명과 검찰수사 조차 마무리되지 않은 셈이다.
추모비 설치 문제도 한 발자욱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
충북도와 김영환 지사는 오송참사 희생자를 추모하는 추모비를 충북도청 내에 설치한다고 밝혔지만 끝내 무산됐다.
충북도의회가 추모비 설립 예산을 삭감하면서 추모비 설치 문제는 원점으로 돌아왔다.
이 과정에서 국민의힘 뿐만 아니라 일부 더불어민주당 도의원도 예산삭감에 참여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국회의원이 국정조사에서 김영환 지사를 앞에두고 “국민의힘 도의원들이 예산삭감을 주도했다”고 질책했지만, 실상은 민주당 소속 의원도 이에 동참했다.
재판도 하세월이다. 이범석 시장의 경우 올해 재판 심리가 시작됐지만 언째 끝날지는 미지수다. 법조계에선 1심 판결이 나오려면 최소 2년 이상이상 걸릴 거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진상규명도 책임자 처벌도 여전히 미궁인 상황속에서 참사 희생자들의 일상 복귀는 아직도 먼 얘기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