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 참사 국조, 현장조사·충북도 질의·유가족 간담회 진행
김영환 지사 “도의적 책임” vs 국회 행안위 의원들 “책임 회피” 민주당충북도당 “김 지사 책임 회피성 발언,유가족에 대못”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15일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 현장을 찾아 국정조사를 진행했다. 의원들은 오전에 참사 현장과 인근 미호강 제방을 점검하고, 충북도청과 도의회에서 현장 질의와 유가족 간담회를 이어가며 진상 규명과 책임 소재를 집중적으로 따졌다. 현장 조사에는 충북도와 행복도시건설청, 금강유역환경청, 금호건설 관계자들이 동행했다.
충북도의회 다목적 회의실에서 열린 질의에서는 김영환 지사와 의원들 간에 설전이 오갔다. 김 지사는 “어떠한 말로도 유가족을 위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도의적 책임을 지겠다”고 말하면서도 “당시 보고를 제대로 받지 못했다. 참사 이후 CCTV를 직접 확인했다”며 책임을 회피했다.
이에 대해 여야 의원들은 충북도의 부실한 보고 체계와 김 지사의 미흡한 초기 대응을 강하게 질타했다.
이연희(더불어민주당·청주 흥덕) 의원은 “매뉴얼대로 지하차도 교통 통제만 했어도 참사는 막을 수 있었다”며 지휘 책임을 물었고, 이광희 의원은 “수차례 위험 신호가 접수됐는데도 도지사는 몰랐다고 한다. 몰랐다는 말로 무마가 되느냐”고 질책했다.
유가족들은 간담회에서는 “참사 2년 만에 국정조사가 이뤄져 감사하다”며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재난 안전 매뉴얼과 평가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호소했다.
또한 “추모비 설치가 무산되고 예산이 삭감되는 과정에서 2차 가해를 받았다”며 도와 시의 진정성 있는 태도를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충북도당은 논평을 통해 “김 지사의 책임 회피성 발언은 유가족의 가슴에 대못을 박은 것”이라며 “충북도의 재난 컨트롤타워만 제대로 작동했더라면 희생은 막을 수 있었다”고 비판했다.
국회 행안위는 오는 23일 청문회를 열어 김영환 지사와 이범석 청주시장,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을 상대로 증언을 청취한다. 25일에는 최종 결과보고서를 채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