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교과서 적극 추진하던 충북교육청…정권 바뀌니 조용?
4일 초·중등교육법 개정안 국회 의결…‘교과서’→‘교육자료’ 학교별 리더교사, 디지털 튜터 등 AI교과서 관련 정책 해명 없어 교육청은 교육부의 일방적인 지시만을 수행하는 기관 아냐 충북교육발전소, “AI기술 어떻게 활용할지 공론화과정 거쳐야”
AI디지털교과서(AI교과서)를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조정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된 가운데 그동안 AI교과서를 적극 추진했던 충북교육청이 기존의 기조를 바꾸고 교육부의 ‘지시’만을 기다리고 있다.
교육청이 교육부 정책을 수행하는 기관이기는 하지만, 그동안 AI교과서와 관련 도교육청이 진행했던 여러 정책에 대해 교원은 물론 학생 및 학부모에게 어떠한 설명이나 해명 없이 수동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상황.
충북교육청, 지난해부터 AI교과서 적극 지원
앞서 충북교육청은 AI교과서에 대해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AI교과서를 활용해 학생 맞춤형 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AI교과서의 정착을 위해 학교별 리더 교사 1300여 명을 양성했고, 교원연수, 무선망 증속, 디지털 튜터 배치, 모든 학교의 무선네트웤트 점검, 전자칠판 보급 확대, AI교과서 선도교육청과 학급 등을 운영했었다.
지난 1월 최상목 권한대행이 거부권을 행사할 당시, AI교과서 지위가 교과서가 될지 교육자료가 될지 기로에 서 있을 때도 각 학교에 AI교과서 ‘지원’을 약속했었다.
특히 윤 교육감의 핵심 공약인 ‘충북 다차원 학생 성장 플랫폼 다채움’과 AI교과서를 함께 사용할 것을 적극 추진했다.
그 결과 충북교육청은 AI교과서 채택률 54.9%로, 대구·경북교육청과 함께 ‘AI교과서 채택률 우수 교육청’으로 불리기도 했다.
정부 바뀌니 정책 설명·해명 없어
그러나 정부가 바뀌고 지난 4일 국회 본회의에서 AI교과서가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의결되자, 현재 도교육청은 교육부 정책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진행했던 정책에 대해 어떠한 해명이나 설명은 없는 것이다.
도교육청 창의특수교육과의 A씨는 “(그동안)교육부 방침에 따라 진행한 것이다. (교육부가)전면 도입이라고 했을 때는 그에 따라 공문을 (각 학교에)보냈었고, 자율 도입이라고 했을 때는 또 자율 도입이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며 “현재는 교육부 방침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도교육청은 당연히 교육부 방침에 따라 움직이는 기관이다. 자율권이 없다”고 강조했다.
물론 일각에서는 교육청의 지위가 교육부에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라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교육청은 교육부의 일방적인 지시만을 따르는 기관이 아니라 때로는 견제하고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기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북교육청은 현재 그동안 진행해 왔던 정책에 대해 앞으로 어떻게 조정하고 재설계할 것인지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다.
충북교육발전소, “디지털 교육 방향 근본적으로 재설계해야”
한편 충북교육발전소는 5일 성명을 내고 “국회의 이번 결단을 적극적으로 환영한다”며 “교육부와 충북교육청은 더 이상 실패한 정책에 집착하지 말고,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디지털 교육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AI교과서 활용 의사가 없는 학교에 대해서는 사용 취소를 안내하는 공문을 즉각 발송할 것과 AI와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교육에 활용할지 공론화 과정을 거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