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애도는 진상규명…피해회복 첫 단추는 책임자 처벌”

15일 오송참사2주기 추모식 열려…이재명 대통령 추모 화환 민주당 등 여‧야7당 대표 영상메시지 “국정조사 반드시 할 것” 약속 김영환지사‧이범석청주시장‧윤건영충북교육감은 불참

2025-07-16     김남균 기자
15일 충북도청 앞에서 2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오송참사 2주기 추모식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다짐했다.
15일 충북도청 앞에서 2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오송참사 2주기 추모식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다짐했다.
15일 충북도청 앞에서 2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오송참사 2주기 추모식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다짐했다.

 

15일 충북도청 앞에서 2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오송참사 2주기 추모식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다짐했다.

이날 추모식에는 오송참사희생자유가족협의회와 생존자협의, 세월호참사외 이태원참사 유가족 등 참사 피해당사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지난 해 발생한 경기도 화성 ‘아리셀참사’ 피해유가족도 참여했다.

정치권 인사도 대거 참여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선 이광희 민주당충북도당 위원장과 이강일‧송재봉‧이연희 국회의원과 당 대표에 출마한 정청래 국회의원, 이성윤 국회의원이 참석했다. 기본소득당 용혜인 국회의원도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추모화환을 보내 위로를 전했다.

국민의힘을 제외한 여야 7개 정당 대표는 영상메시지를 통해 오송참사의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국회차원의 국정조사를 약속했다.

언론노조 조합원인 KBS 이해수 아나운서가 진행을 맡았다.

오송참사 희생자들은 직접 연단에 올라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강조했다.

오송참사생존자협의회 대표 A씨는 “희생자들에 대한 진정한 애도는 진상규명이며 피해자들의 피해회복 첫 단추는 책임자들의 처벌”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023년 7월 15일 토요일 오전 8시 30분경.. 오송 궁평 2지하차도에서 국가는 없었다”며 “임시제방이 무너졌고, 누구 하나 지하차도를 통제하는 이 없었으며, 6만톤의 물이 저희들을 덮쳤다. 생과 사의 갈림길에서 살고 싶다는 본능 하나로 흙탕물을 마시며 각자도생으로 빠져나왔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그러면서 “부상자이자 목격자인 저희들을 힘들게 하는 것은, 생존본능의 역한 감정만이 아니었다”며 “14분의 희생자들. 그들을 구해주지 못해서, 같이 빠져나오지 못해서 느끼는 절망감과 죄책감이 저희들을 가장 힘들게 했다”고 말했다.

오송참사유가족협의회 이경구 대표는 “미처 작별의 준비도 못하고, 작별할 거라는 예상도 못한 채, 이별의 충격이 아직 가시지 않은 상태로 해가 2번이나 바뀌고 다시 그날을 맞이하고 있다”며 말 문을 열었다.

그는 “지난 2년 동안 저흰 마음과 몸도 추수리기도 전에 참사의 원인규명과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대책을 외치며 거리로 나와야 했다”며 “모든 사람들이 '인재'라고 가리키는 곳에 참사의 진실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품었지만 현실은 달랐다”고 절망했다.

이 대표는 “최근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고, 많은 변화가 찾아왔다”며 “참사 후 사후조치에 대한 유족들의 바램을 애써 외면하고, 시간끌기, 악성 민원인정도로 대하던, 2년이란 시간보다, 한달 남짓의 시간이 보다 저희들에게 위로가 되고, 희망이 보이는 시간이었다”며 새로운 정부에 대한 기대감을 표시했다.

이연희 국회의원은 국회 국정조사에 대한 경과를 보고했다.

이 의원은 “오송참사 2주기를 맞이하는 지금까지, 국정조사 요구안 발의된 지 324일이 지난 지금까지도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은 채 제자리걸음”이라며 유감을 표시했다.

그는.국정조사가 미뤄진데 대해서 “국회의장도 오송참사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말씀하셨고 야 6당의 지도부들 역시 공감대를 표명했었다”며 “안타깝게도 이후 불법계엄, 내란, 탄핵 등 정국이 어지러워졌고 다른 정치 현안에 밀려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내일 청주시 의원들과 연대해 국회의장을 찾아 뵙고 다시 설득하겠다”며 “여야 지도부를 석들해 반드시 오송참사 국정조사를 관철하겠다” 말했다.

한편 희생자 유가족들로부터 ‘책임자 처벌’ 대상으로 지목된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추모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다만 충북도에서는 김수민 정무부지사가 참석해 자리를 지켰다. 또 중대재처벌법 위반혐의로 기소된 이범석 시장도 참여하지 않았다.

윤건영 충북교육감도 참석하지 않았는데, 최교진 세종식 교육감이 참석해 대조를 이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