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상규명·책임자처벌”…오송참사 유가족,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촉구
참사 2주기 선포 기자회견 열어
오송참사 2주기를 맞아 유가족협의회, 생존자협의회, 시민대책위가 다시한번 참사의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이들은 7일 충북도청 앞에서 ‘오송참사 2주기 추모주간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2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진실은 밝혀지지 않았고 책임자 또한 명확히 처벌받지 않았다”며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세월호 참사 이후 더 이상 이런 일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고 다짐해 왔지만 이태원 참사, 오송지하차도 참사, 화성 아리셀 참사, 제주항공 참사까지 국가의 무책임은 계속 반복되었다”며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정부와 지자체의 중대시민재해에 대한 신상필벌, 재난 대응 체계 전면 개편, 책임성 강화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송지하차도참사의 진상규명과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에는 시민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가 절실하다”며 “희생자들의 억울한 죽음을 헛되이 하지 않기 위해, 진실을 밝히고 책임을 묻는 길에 시민 여러분이 함께해 주길 간곡히 호소한다”고 강조했다.
오송참사 유가족협의회·생존자협의회·시민대책위는 이날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15일까지 추모주간을 운영한다. 11일(금) 오후 7시에는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에 위치한 ‘카페 라피니’에서 ‘피해자의 목소리와 시민의 기억이 만나는 토크콘서트’를 연다.
9일(수)과 14일(월) 오후 5시부터는 각각 청주시 성안길 (구)롯데시네마 앞에서 오송지하차도 참사 국정 조사 촉구와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을 벌인다. 15일(월) 오후 6시 30분부터는 충북도청 정문 앞에서 참사 2주기 추모제를 연다.
현재 오송참사 2주기 추모위원으로 이름을 올린 이들은 강득구 국회의원을 비롯해 국회의원과 시민 1527명이고 단체는 107개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선서에서 “오송지하차도참사 등 사회적 참사의 진상을 명확히 규명하겠다”고 약속했고 국회는 국정조사를 통해 진상규명을 약속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