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충북환경련, 충북도 ‘중앙광장’ 사업 중단 촉구
수십 년 된 고목 베어낸 충북도…또 광장 만든다고? 충북도, 본관·신관 사이 임시주차장 부지에 잔디광장 조성 “즉흥·일방적 도청 리모델링 사업은 시민 안전 위협하는 일”
충북도가 최근 도청 본관과 신관 사이 임시주차장 부지에 잔디광장을 조성하겠다고 발표, 충북지역 환경단체가 반발하고 있다.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은 1일 성명을 내고, 지난달 19일 충북도가 발표한 ‘중앙광장’ 사업을 비판했다.
이들은 “충북도청에 필요한 건 잔디광장이 아니라 예전처럼 나무와 숲이 가득한 도청”이라며 “나무를 베고 주차장을 늘리고 잔디광장을 조성하는 것은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임기 4년에 불과한 김영환 지사의 즉흥적이고 일방적인 도청 리모델링 사업으로 백 년을 바라보는 고목들이 무참히 제거되는 끔찍한 일이 벌어졌다”며 “예전보다 더 촘촘히 나무를 심고, 도청 주위에 가로수를 심어 그늘을 제공하는 것이 기후 위기 시대에 시민들의 안전을 지키는 일임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의 ‘광장 사랑’…나무 수백여 그루 사라져
앞서 충북도는 기존 임시 주차 공간을 도민을 위한 녹지 쉼터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총 2000㎡ 규모의 잔디광장을 조성하겠다는 것인데, 충북도는 단순한 조경을 넘어 도청 대회의실과 연계된 복합문화공간으로도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와 관련 가뜩이나 협소한 주차 공간이 더욱 줄어들 것이란 우려와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공사가 시작되면 도청사 내 주차 공간은 276면에서 129면으로 147면이 줄어들기 때문. 도청의 법정 주차 대수는 328면이다.
또한 기후위기 시대에 녹지를 없애는 사업은 시민을 위협하는 일이라고 반대하고 있다.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도청 안 나무를 제거하고 잔디광장을 조성하고 있다. 2023년 본관 앞 정원부터 2024년 ‘쌈지 광장’, 지난달 조성된 ‘연못 광장’까지 그동안 김 지사의 ‘정원 사업’으로 수백여 그루의 나무가 잘려 나갔다.
지난 2023년 10월 충북도가 1억 9200만 원을 들여 조성한 잔디광장에는 본래 오엽송·낙엽송·향나무 등이 있었다. 공원 조성으로 190여 그루는 이식되거나 제거됐다. 이 중 일부는 관리 부족으로 고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청주충북환경련은 “충북도청에 심어져 있던 고목들은 유아들의 환경교육 장소였고, 시민들이 작은 음악회를 열고, 도청을 찾는 민원인과 직원들에게 그늘과 휴식을 제공했던 자리였다”며 “(광장조성으로)도청은 콘크리트 바닥으로 메워지고, 뙤약볕에 그늘 하나 없는 잔디밭으로 바뀌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폭염은 단순히 한 여름 잠깐 지나가는 더위가 아닌 시민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존재이고 이를 대비해야 하는 것이 행정의 역할”이라며 “후생관 건립으로 불가피한 수목 훼손이었다는 것이 핑계가 아니라면 정화조 공사가 끝난 신관과 본관 사이에는 예전처럼 나무를 심어 녹지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어차피 모든 충북도청 공무원과 민원인이 만족할 만한 주차공간 확보는 불가능하다. 계속해서 나무를 베고 주차장을 늘리고, 잔디광장을 조성하는 것은 시민을 위한 일이 아니다”라며 “오히려 기후 위기 대응에 역행하고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일이다”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