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교육연대, 학교 안전 위해 6가지 필요하다
흉기 난동 사고 관련 충북교육청에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 촉구 피해자 적극적 보상, 후속 조치 마련, 근로자 재해보상보험 등
지난달 28일 청주 모 고교에서 흉기 난동이 벌어진 것과 관련, 충북교육연대가 충북교육청에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충북교육연대는 7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사건으로 학교가 얼마나 무방비 상태였는지 여실히 드러났다”며 “충북교육청은 이제라도 학교의 안전 회복과 신뢰 회복에 힘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피해자에 대한 적극적 피해 보상 및 후속 조치 마련, 근로자 재해보상보험 등 6가지 사항을 제안했다.
우선 충북교육연대는 해당 학교 피해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피해 보상과 후속 조치를 요구했다. 피해자들은 심리적·물리적 상해를 입었지만, 그 증상이 지금 당장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도교육청이 끝까지 책임지고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요구는 해당 학교 교직원과 학생들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 대책 마련이다. 피해자들이 심리적 충격으로 향후 병가나 병휴직 등의 조치를 원할 경우, 불편 없이 휴가권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는 것.
세 번째는 근로자 재해보상보험과 신체 부상 외에 물품 보상 자구책 마련이다.
네 번째는 학교 위기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체계적인 대응책 마련으로, 충북교육연대는 최근 도교육청이 발표한 ‘학교 안전 강화 계획 수립 로드맵’에 실질적인 ‘사례 중심의 위기 상황 대응 학교 안전 매뉴얼’이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섯 번째는 모든 학교에 충분한 교사 배치와 특수지원·상담·교육복지 전문인력 확충이다. 이번 사건의 원인이 위기 학생을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고 학생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한데 있는 만큼,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학교에 충분한 전문인력 배치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
여섯 번째는 전체 학교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안전사고 및 위협, 폭력 상황에 대한 전수조사 실시다.
충북교육연대는 “이번 사건으로 학교 노동자들이 안전사고 및 위협, 폭력 상황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음이 여실히 드러난 만큼,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채로 학교 노동자들이 감내하고 있었던 위험 상황들도 반드시 조명되고 해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학교가 안전하지 못하다는 것이 드러나고 신뢰가 무너진 지금, 충북교육청은 그 어느 때보다도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