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신짜오 2편 : 뜨거운 재회, 그러나 너무나 슬픈 과거
(기획연재) 충북민예총·베트남푸옌성 2025 문화예술교류 동행기 2편
‘파도를 타고 구름을 넘어 20주년’. 이 문구는 지난 해 베트남 푸옌성 문화관광청이 문화교류를 위해 충북을 찾았을 때 발표된 공식 슬로건이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했다고 하는데 20년 동안 변치 않고 진행됐으니, 교류의 깊이는 ‘종가집 묵은 된장 맛’처럼 깊다고 해야 할까?
충북민예총(이사장 김덕근)은 지난 2004년부터 베트남 푸엔성과 문화교류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충북민예총은 민간예술단체인데 베트남 푸옌성은 정부조직이다.
올해도 충북민예총과 베트남 푸옌성의 문화예술교류는 이어지고 있다. 지난 달 28일부터 4월 2일까지 25명으로 구성된 충북민예총 문화예술교류단이 베트남에 방문해 공연과 전시, 교류행사를 진행했다.
본보는 8박9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 동행해 ‘종갓집 깊은 된장 맛’처럼 우러나는 우애의 뒤편에 있는 우정어린 이야기를 전한다. (편집자 주)
공연을 마친 뒤 무용가 오세란(예술공장 두레)씨와 싸오비엔 예술단 소속 무용가는 서로를 부둥켜 껴 안았다.
너무나 뜨거워 보는 사람도 전류가 혈관을 짜릿하게 태우는 느낌이 든다.
별 하늘 아래서 강강술래에 맞춰 덩실덩실 춤을 춘다. 여기가 베트남인지, 한국의 어느 시골 마을인지 구분이 가지 않는다. 그들은 그렇게 오작교에서 만난 견우와 직녀처럼 일주일 내내 뜨거웠다.
충북민예총(이사장 김덕근)이 문화예술 교류를 위해 방문한 곳은 베트남 푸옌성(Phú Yên, 富安省)이다. 한자식 표기를 우리말로 읽으면 부안성이다. ‘성’은 행정구역으로 우리나라로 치면 ‘도’(道)에 해당한다.
성도는 뚜이화(Tuy Hòa, 綏和)시다. 한자식 표기는 ‘편안할 수’에 ‘화할 화’자, ‘수화’시가 된다.
베트남은 1000년 가까운 중국의 식민지배를 받았고, 우리와 마찬가지로 한자 문화권이다.
그래서 발음이 거의 같거나 비슷한 단어가 종종 있다. 베트남 남자 화장실은 ‘Nam’으로 표기되는데 ‘사내 남(男’을 그들도 우리와 똑같이 ‘남’으로 읽는다. ‘중학생’도 발음이 거의 비슷하다.
푸옌성의 인구는 2024년 기준으로 88만5500여명이고, 뚜이화시의 인구는 18만명 규모의 중소도시다. 베트남의 남동부 지역에 위치해 있는데, 뚜이화시는 베트남에서 가장 동쪽에 위치해 있다.
농업과 어업, 농산물 가공업 등의 경제구조를 갖추고 있다. 아래 지방의 달랏이나 나짱, 위쪽의 다낭처럼 관광산업은 발전하지 않았다.
하지만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역사와 유적, 해안가를 따라 이루어진 아름다운 해변 등 관광지로서 발전할 충분한 잠재력도 가지고 있는 곳이다.
아직 관광이 발전하지 않아 물가가 저렴한 것도 장점이다. 이곳엔선 망고주스가 베트남 돈으로 2만동(한화 1100원), 쌀국수 3만동(한화 1650원), 베트남 연유커피 1만동(550원) 정도다.
과거를 기억하는 또 다른 방식, 베트남에선 증오비, 한국에선 참전기념비
“아이야 기억하거라. 한국군이 우리를 폭탄 구덩이에 몰아넣어 죽였단다. 아이야 넌 꼭 기억하거라.”
베트남 전쟁이 끝난 후 베트남 어머니들이 아이들에게 불러줬다는 자장가의 가사다.
한국과 베트남은 슬픈 역사를 다른 방식으로 기억하고 있다. 베트남에선 증오비를 세웠고 한국에선 ‘월남전쟁 참전 기념비’를 세웠다.
베트남전쟁은 우리 한국과 직접적인 연관도, 이해관계도 없는 전쟁이었다.
그런 두 나라가 1965년 전쟁이란 것으로 얽혔다. 미국이란 나라가 매개체가 됐다.
죽고 죽이는 전쟁이란 방식에 그렇게 엮이는 순간 당초 명분과 정의 보다는 결과만 선명하게 남는다.
모두가 피해자가 된다. 한국군 몇 명이 죽었고, 베트남군과 베트남민족해방전선 군인들이 몇 명이 죽었는지 수치는 달라도 개인 입장에선 ‘죽었다’라는 피해는 똑같다.
가장 큰 피해자는 역시 민간인이다.
아이와 어머니, 노인, 심지어 신생아와 태아까지도 죽었다... 무장하지도 않은, 전쟁과도 무관한 이들에 대한 죽음을 우리는 ‘학살’이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의 재판부도 이런 ‘학살’에 대해 인정했다.
지난 1월 17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항소3-1부(부장 이중민)는 응우옌티탄(64)이 한국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17일 정부 측 항소를 기각했다.
1심에선 원고 응우엔티탄은 전부 승소했었다.
응우옌은 "1968년 2월 12일 한국 해병 제2여단 부대원들에 의해 어머니와 언니, 남동생을 잃고 나와 오빠도 총상을 입었다"며 2020년 한국정부를 상대로 피해보상 소송을 냈다.
재판에서 한국 정부는 '퐁니·퐁넛 사건'은 국군으로 위장한 북한군이나 베트남군 공격에 의한 것이며 전시 상황에서 살상은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피해를 인정할 수 있다고 해도 이미 50년이 넘어 소멸시효가 완성됐고 국내법에 따라 배상해야 할 의무도 없다고 맞섰다.
법원은 그러나 베트남전 민간인 학살 사건에 대한 첫 국가배상 판결을 내린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응우옌의 손을 들어줬다.
한국군 작성자료와 미국 해병 부대원 진술, 주민의 무장 상태 등을 종합하면, 한국군이 마을 주민들을 공격한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고 봤다.
재판부가 한국정부가 응우옌에게 배상해야 할 금액은 4000만원으로 산정했다.
충북민예총이 교류하고 대상인 베트남 푸옌성 지역은 푸옌성은 베트남 전쟁 시기 청룡부대, 맹호부대, 백마부대 등 모든 한국군 전투부대가 주둔했던 역사를 갖고 있다.
또 박영한 작가의 장편소설 「머나먼 쏭바강」의 무대이기도 하다.
푸옌성 지역도 인근한 꽝남성과 마찬가지로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이 자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교류에 충북민예총문화예술교류단은 푸옌성 뚜이화시 화히엡남 마을 문화회관을 방문했다.
이곳에는 얼마전까지 ‘비아 캄토우’(증오)라는 문구가 새겨진 비석이 있었다. 즉 학살이 있었다는 얘기다.
이 마을 주민에 따르면 화히엡남과 인근 화히엡중, 화히엡박(남, 중, 박은 한자어 南, 中, 北을 의미) 마을에서만 100여명의 양민이 한국군에게 학살당했다.
어린이와 여성 등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았다. 그래서 이 마을 사람들은 음력 3월 2일 증오비 앞에서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 증오비는 사라졌다. 대신 ‘통념’(위령)탑이라는 문구를 넣어 새로 단장됐다..
안내를 맡았던 마을 주민은 베트남 푸옌성에서만 22개 마을에서 925명의 민간인이 한국군에 의해 희생됐다고 밝혔다.
문화예술교류 21년, 누구와 교류하나?
충북민예총 문화예술교류단과 베트남 푸옌성과의 문화교류는 2004년 시작됐다. 그해 베트남 푸옌성 정부와 충북민예총은 문화예술교류 조인식을 체결한 뒤로, 한 해는 베트남 푸옌성으로, 한 해는 충북을 교차 방문해 전시와 공연 등 교류 활동을 진행했다.
자세히 보면 특이한 점이 있는데, 충북민예총은 민간단체인 반면 푸옌성은 베트남의 행정기관이라는 차이가 있다.
한국의 민간기구와 베트남의 정부가 교류의 주체인 셈이다.
베트남에선 푸옌성 문화예술관광청이 총괄하고, 도립예술단격인 싸오비엔 예술단, 한국베트남우정연합회등 관련된 기관이 참여했다.
이번 교류에는 충북민예총의 경우 국제교류위원회(위원장 나혜경, 국악인)가 총괄했다.
공연전시팀에는 예술공장 두레, 산오락회, 전통미술위원회, 서예위원회가 참여했고, 이 외에도 영상기록팀이 함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