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단 하루도 대통령으로 둬선 안된다"

시·군 간부급 공무원 새벽 긴급 소집 지역 노동·시민단체 尹 퇴진 투쟁 결의 정계·법조계 등 각계각층서 ‘尹 퇴진’

2024-12-04     이종은 기자

 

4일 11시 충북도청 앞에서 열린 충북 내 시민단체의 정권 퇴진 기자회견 모습 (사진=이종은 기자)
이날 기자회견에는 농민, 장애인, 여성 등 여러 단체가 참여했다. 참가자들이 정권 퇴진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2시간 35여 분만에 해제 결의가 이뤄진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가 충북 지역의 정권 퇴진 시위에 불을 당기는 결과를 만들었다.

지난밤 3일 10시 25분경 45년만의 비상계엄 선포에 지역에는 전운이 감돌았다.

시·군 지자체는 전대미문의 사태에 국회를 주시했고, 지역의 노동·시민단체의 규탄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청주시는 3일 오후 11시쯤 신병대 부시장 주재로 간부들을 소집한 뒤 국회 상황을 공유하며 익일 새벽 1시경 국회에서 계엄 해제가 결의된 시각까지 회의를 이어갔다.

비상계엄 선포 1시간 30분가량이 흐른 4일 0시경 충북도는 실·국장 이상 긴급 간부 회의를 소집한 뒤 국회 상황을 주시했다.

4일 새벽 2시경 송기섭 진천군수가 도내 자치단체장 중 제일 먼저 계엄 철회에 대한 입장을 내놨다.

계엄사령부 포고령에 따라 지방의회의 활동이 제한됐던 충북도의회는 4일 오전 의장단 및 상임위원장단을 긴급 소집했다. 회의 결과 중단됐던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예정된 4~5일 양일간 정상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4일 오전 8시 충북참여연대는 상당공원 일원에서 정권 퇴진 피켓 시위를 진행했다. 

 

“윤 대통령 비상계엄은 ‘정권 종말’ 선언”

지난밤 긴급 대책 논의에 나섰던 지역 시민사회에서는 일제히 헌법 정신을 훼손한 윤 정권 퇴진을 촉구했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는 4일 오전 8시 출근길 윤 대통령 탄핵 촉구 피켓 시위에 나섰다.

피켓 시위를 마친 후 지역 노동·시민단체는 회의를 거쳐, 민주주의 대전환이라는 기치로 정권 퇴진 투쟁에 나설 것을 결의했다. 이들은 오늘 오후 6시 충북도청 서문에서 촛불행동과 거리행진에 나선다. 

지역 시민단체들은 5일부터 13일까지 평일 오후 6시 30분에 충북도청 일원에서 정권 퇴진 집회를 실시할 계획이다.

같은날 오전 11시 민주노총 충북본부와 충북시민사회연대회의 등 지역의 시민단체는 기자회견을 통해 “윤 대통령은 반헌법적 비상 계엄을 통해 정권의 종말을 선언한 셈”이라며 “내란죄에 준하는 망동으로 민중을 혼란에 빠뜨리고 민주주의를 후퇴한 윤석열은 당장 물러나라”고 규탄의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노총 충북본부 박옥주 본부장은 “전쟁위기를 부추기고 공공성을 파괴한 윤석열은 대통령으로 단 하루도 있어선 안된다”며 “민주노총은 시민사회와 함께 윤 정권 퇴진까지 투쟁하겠다. 공공성 확보와 노동권 보장, 민중이 존엄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자본주의 불평등 체제 전환을 위한 싸움 이어갈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혁규 충북참여연대 대표는 “국회를 마비시키고 헌정 질서를 붕괴시킨 것은 다름아닌 윤 대통령 본인”이라며 “반민족 세력을 척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탄핵이라는 말조차 사치스럽다. 윤석열은 당장 물러나야 한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비정규직없는충북만들기운동본부 김국배 대표는 “법리적 절차를 무시한 채 군사정권 시절에나 활용하던 비상계엄 선포는 검찰지배 독재국가로의 회귀를 하겠다는 것”이라며 “윤석열의 민주주의와 헌법 질서에 대한 위협행위를 규탄한다”고 분개했다.

이날 충북지방변호사회는 성명을 통해 “윤 대통령의 기습 비상계엄 선포는 위헌·불법적 폭거”라며 “정권 퇴진과 가담자들에 대한 철저한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역 정당의 입장표명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충북도의회 의원인 박병천 원내대표와 이상식, 박진희, 안치영 도의원은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탄핵을 촉구했다.

진보당 충북도당도 성명을 내고 "윤석열은 더이상 대통령이 아닌 '내란수괴'"라며 "윤석열을 즉각 체포하고 공모자를 색출하여 죄를 물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충북도당은 4일 오전까지 “내부 회의를 거치고 있다”며 별다른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으며, 오후 입장문을 통해 도민에게 사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