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참사 유가족, 300명 국회의원에 "연내 국정조사 촉구" 엽서 전달

참사발생 500일 지나도록 "진상규명ㆍ책임자 처벌 불투명"

2024-11-26     이종은 기자

 

유가족들은 연내 국정조사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아 국회의원 300명에게 보낼 엽서를 손수 작성했다. (사진=이종은 기자)
26일 충북도청에서 열린 국정조사 실시 촉구 기자회견 모습.

 

오송참사 유가족들이 국정조사를 촉구하는 친필엽서를 300명의 국회의원에게 보낸다.

26일 오송참사 유가족ㆍ생존자협의회와 시민대책위는 기자회견을 열고 “유가족과 생존자들은 참사의 진실이 묻히고 대중의 기억 속에서 잊히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과 불안함 속에 하루하루를 살고 있다”며 “오늘 유가족의 눈물로 쓴 친필 엽서를 22대 국회 300명의 국회의원실에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8월 여6당 188명 의원들이 제출한 국정조사 요구서는 3개월째 잠자고 있다”며 “참사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 국회는 당장 국정조사를 추진해야 한다”고 규탄했다.

이어 “국가와 지방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역할과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며 “참사의 구조적 원인을 밝히고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해야 할 정부는 책임 회피로 일관하며 참사 피해자들에게 2차 가해를 가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참사의 진상 조사가 늦춰질수록 유가족들의 심리·사회적 고통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올해 충북도 행정사무감사에서는 참사 피해자를 위한 재난심리회복지원단 회의가 한 번도 열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책위는 “충북도는 피해자들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지원은 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 19일 충북대 심리학과와 TBN충북교통방송은 1년여간 오송참사 피해자 30여 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올해 8월 기준 △10명 중 7명은 ‘외상후 스트레스’가 증상에 시달렸으며 △우울 증상은 57%로 조사됐다.

피해자들은 고용불안정과 사회참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극단적 선택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는 답변이 17%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참사 이후 사회적으로 고립됐다고 느끼는 등 심리적 문제와 더불어 자치단체의 심리지원 서비스에 관해선 '전문성 결여', '형식적 지원에 그쳤다'는 답변이 많았다.

기자회견에서 오송참사 유가족들은 국정조사를 실시해 참사의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대책 마련해달라고 재차 호소했다.

유가족협의회 이경구 공동대표는 “오송참사는 수차례 위험신호와 충분히 예상하고 막을 수 있었던 인재였다”며 “구조적 문제를 밝히고 책임을 지울 수 있도록 국회가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또 다른 유가족은 “유가족은 슬퍼할 겨를도 없이 참사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길거리에 나왔다. 진상규명과 수사를 촉구하기 위해 수많은 기자회견과 집회에 참여해야만 했다”며 “억울하게 희생된 14명을 위해 국회는 최소한의 도리를 해달라”고 호소했다.

대책위는 “피해자들의 애달픈 호소가 300명의 국회의원에게 전달되어 오송참사의 원인이 명명백백 밝혀지길 바란다”며 “다시는 이런 사회적 참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대책이 마련되야 한다"고 밝혔다.

오송참사유가족협의회, 생존자협의회, 시민대책위는 이달 20일 국회에서 국정조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야6당 국회의원 188명의 국회의원실에 오송참사 기억 현판을 부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