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여성단체, 여성폭력추방의날 맞아 혐오범죄 근절 촉구

"계속되는 여성 폭력, 구조적 성차별 근절하라"

2024-11-25     이종은 기자

 

지난 9월 충북의 여성, 교육 등 35개 시민단체는 충북경찰청 앞에서 딥페이크 적극 대응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충북인뉴스DB)

 

세계여성폭력 추방의 날을 맞아 청주페미니스트네트워크 걔네(이하 청주페미니스트 걔네)가 구조적 성차별 해결을 위한 투쟁을 결의했다.

11월 25일은 1960년 도미니카 공화국의 통치자 라파엘 트루히요에 의해 세 명의 정치 활동가 미라벨 자매가 살해된 날이다. 1991년 유엔은 여성폭력 종식을 위해 이날을 세계여성폭력 추방의 날로 지정했다.

25일 청주페미니스트 걔네는 성명을 통해 “2022년 부산 돌려차기 사건, 2023년 신림동 성폭행 살인 사건, ‘여성 혐오 범죄’ 진주시 편의점 폭행 사건 등 여전히 여성 대상 폭력은 증가하고 있다”며 “여성폭력은 시대와 지역, 계층에 따라 그 양상을 달리 하지만, 그 본질은 오래전부터 여성을 동등한 시민으로 보지 않는 구조적 성차별의 결과물”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여성의전화 2023년 분노의 게이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친밀한 관계의 남성 파트너에 의해 살해된 여성은 최소 138명에 이른다. 자녀, 부모, 친구 등 주변인 피해자 54명까지 지난해 총 192명이 희생됐다.

지난해 교제폭력 신고 건수는 7만 7150건에 이르며, 스토킹 범죄는 2년 동안 6.5배 증가했다.

청주페미니스트 걔네는 “대한민국 여성이 처해진 현실은 참담하다. 지난 8월, 텔레그램을 중심으로 일어난 딥페이크(허위영상물) 성폭력은 여성들의 일상을 위협하고 분노케했다”며 “지인, 가족, 학교, 직업군, 지역별로 딥페이크 텔레그램 채널이 존재하고, 자동으로 성착취물을 제작하는 텔레그램 채널 가입자 수는 40만 명으로 그 피해 규모는 어마어마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아직도 정치권과 제도권은 여성폭력 문제를 구조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있다”며 정부의 여성 폭력 대응을 지적했다. 

이들은 “정치권에서는 ‘딥페이크 기술의 문제다’, ‘문제가 과장됐다’, ‘알면서 가해한 사람만 처벌해야 한다’며 딥페이크 성폭력 문제를 축소하고 기만했다”며 “교육부는 ‘사태가 안정세로 들어갔다’고 자의적으로 판단해 이달 11일 학내 딥페이크 성폭력 피해자 현황 조사를 잠정 중단하겠다고 밝혔다”고 비판했다.

충청북도 또한 지난 9월 23일 ‘청소년과 아동 대상 딥페이크 성범죄 단속을 위해 경찰청, 교육청과 협조하겠다’는 발표 이후 "아무런 발표도 하지 않고 있다"며 꼬집었다. 

청주페미니스트 걔네는 "여성 대상 폭력은 단순히 기술의 문제도, 일시적인 일탈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구조적 성차별과 여성폭력을 근절하기 위해 우리는 계속해서 분노하고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딥페이크 성범죄 피해 사실이 알려지면서 9월 청주에서도 35개 시민사회 단체들이 딥페이크 성범죄를 규탄하고 피해자 보호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청주페미니스네트워크 걔네를 비롯한 여성·페미니즘 단체들은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한 집담회를 진행하는 등 대응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