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도덕적 해이에 빠진 상아탑
최근 충북 한 대학에서 전임교수이자 학과장이 재학생들을 상대로 자신이 만든 민간자격증 취득과정을 진행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학생들이 딴 자격증은 노인심리상담사·인지심리상담사·아동요리지도사 등이다. 자격증마다 2급을 먼저 따고 1급을 따니 6개 자격증을 취득한 거다. 자격증 3개를 모두 취득하려면 57만원의 비용이 든다.
취재기사에서 밝혔지만 어떤 기관도 사람을 채용할 때 민간자격증인 이들 자격증 소지자로 채용을 제한하거나 이들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한다고 명시하지도 않는다.
그런데도 해마다 100명 가까운 학생들이 자격증을 딴다. 벌써 5년째다.
본보는 이같은 행위가 교수의 본분에 맞지 않고, 나아가서는 법적인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기사가 보도되고 해당교수와 학생이 만남을 요청했다.
해당교수는 문서 한뭉텅이를 기자에게 건냈다. 사실확인서 17장과 환불절차에 대한 설명이 담긴 문서에 환불을 원하지 않는다고 서명한 13장의 문서였다.
교수가 먼저 권하지 않았고,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요청해서 진행했다는 설명이다. 함께 나온 학생 또한 다른 교수의 악의적인 제보라며 해당교수를 옹호했다.
해당교수는 본보 보도내용이 악의적인 일방적 주장이라고 그 또한 주장했다.
백번 양보해서 학생들이 원했고, 해당교수의 주장처럼 학생들을 도와줄 순수한 마음으로 벌인 일이라고 치자.
교수는 만인의 존경과 신뢰를 받는 위치다. 그런 위치는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만큼 환경적 영향에 휘둘리지 않고 순수하게 학문을 연구하고, 후학양성에 힘써야 한다. 괜히 상아탑에 비유되는 것이 아니다. 교수의 지위는 그런 고귀한 희생이 대한 대가다.
정말 학생들을 돕겠다는 마음이 전부였다면 이해충돌이 있는 자신의 자격증이 아닌 다른 기관에서 발행하는 자격증을 추천하는 것이 옳을 일이다.
이것도 양보해서 그럴 수 있다고 치자. 최소한 자격증의 무게가 무겁도록 제대로 교육하고 사회에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과정이라도 철저하게 했어야 한다(이와 관련해서는 후속 보도를 통해 갈음한다).
학생 또한 요구받는 책임과 의무가 있다. 타인의 인생에 관여하는 학과의 학생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진지하게 학문을 대해야 한다. 함께 나온 학생이 기자에게 반문했다.
"운전면허증도 면허학원이 시험장보다 비싸지만 따기 쉽다. 쉽게 따면 좋지 않나?"
학생의 말이 씁쓸하게 다가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