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참사 피해자 언제까지 외면할 건가"...국정조사 촉구

유가족ㆍ생존자협의회 충북도 국감 방청 및 피켓팅 "정부와 수사 당국 사회적 참사 책임 다해달라" 단체장 기소여부 '요원' 책임자 처벌ㆍ진상규명 촉구

2024-10-17     이종은 기자

 

오송참사시민대책위와 유가족, 생존자협의회는 국정감사를 앞두고 충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사회적참사에 국회의 책임있는 역할을 강조하며 국정조사 등 국회 주도의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사진=이종은 기자)
국감을 앞두고 김영환 충북도지사와 피켓팅 중인 오송참사 피해자들이 대면하고 있다.

 

오송 참사 발생 460여일이 지난 현재 유가족과 생존자들이 바라는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은 요원하기만 하다. 중대시민재해 위반으로 고소된 김영환 지사와 이범석 시장의 소환조사가 이뤄진지 5달여 시간이 흘렀지만 기소 여부조차 결정되지 않았다.

이에 오송참사 대책위와 피해자들이 충청북도 국정감사를 시작으로 국정조사 실시와 특별조사위원회 구성을 통한 정부와 국회의 책임 있는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17일 오송참사유가족·생존자협의회와 시민대책위는 국감이 열리는 충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참사 발생 1년3개월여 시간이 흐르도록 피해자들은 정부와 국가로부터 보호받지 못한 채 그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여전히 유가족들이 바라는 진상규명, 최고책임자 처벌, 재발방지대책은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오송참사시민대책위 손은성 상임대표는 “국정감사를 통해 참사 당일 정부와 최고책임자는 무엇을 했는지, 재난이 발생한 경위를 명확히 밝혀주길 바란다”며 “국회는 유가족들이 참사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철저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대책 마련에 힘 써달라”고 요구했다.

진상조사와 검찰의 수사 발표가 늦어질수록 피해자들의 심적 고통과 2차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들은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로 사회적 참사를 막을 수 있는 것이 회복의 시작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유가족협의회 최은경 대표는 “사랑하는 엄마를 떠나보내고 힘든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유가족들은 참사 이후 병을 얻고 심리치료 시기를 놓쳐 트라우마로 가정의 위기를 겪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이어 “정부는 수사 중이라는 이유로 책임있는 말을 하지 않는다”며 “검찰은 최고책임자 소환 수사를 한지 5개월이 지났지만 유가족의 알 권리를 무시한 채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생존자협의회 대표는 “사회적 참사는 여당 야당의 문제가 아니다. 여당도 국민의 생명과 안전 보장의 책임을 지켜 오송 참사 국정조사에 동참해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지난 8월 야당 국회의원 188명이 오송참사 국정조사 요구서를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