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단 공화국 청주, 절대농지까지 개발" 주민들 삭발 투쟁나서

오창네오테크밸리 원주민 반대 '극렬' 시민사회, "농지 없애고 기업 이윤 추구"

2024-09-26     이종은 기자

 

오창네오테크밸리 산업단지 조성사업 예정지의 주민들이 사업중단을 촉구하며 삭발식을 진행했다. 
농소리·종신리·신평리 등 사업 예정지에는 300여 가구가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네오테크밸리산단반대주민대책위를 구성해 산단 조성 철회 촉구 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오창네오테크밸리 산업단지 예정지의 농민들이 삭발까지 감행하며 강경한 반대 의사를 표했다.

미호강에 인접한 해당 지역은 절대농지를 비롯해 유기 재배 단지로 지정되어 있다. 이에 시민사회는 “청주 내 많은 산단을 두고도 청원생명쌀 곡창지대인 농지를 개발하려 한다”며 규탄했다.

26일 산업 단지 예정지인 농소리, 종신리, 신평리 거주 농민들은 청주시청 일원에서 반대 집회를 열고 삭발식을 진행하는 등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심평리에서 유기 쌀농사를 짓는 60대 농민 A씨는 50년 동안 이어온 농사를 접게 생겼다고 한탄했다.

A 씨는 "산단으로 인해 하루아침에 땅을 잃게 생겼다는 생각에 암울했다"며 "10여 년간 유기 인증을 받기 위해 화학비료 없이 무농약으로 쌀을 키우며 준비한 땅인데 너무 아깝다"고 이야기했다.

이어 “우리 마을은 유기재배단지로 지정된 곳으로 유기 인증은 매년 토양검사와 농약 잔류 검사를 받는 등 절차가 무척 까다롭다”며 “학교 급식에 친환경 농산물을 제공하고 있는 우리 지역이 무너지면 부족한 만큼 외지 농산물을 가져와야 할 텐데 이 또한 낭비 아니냐”고 지적했다.

 

청주시농민회, 충북시민사회연대회의 등은 기자회견을 열고 청주시의 산업단지 계획 중단을 촉구했다. 

 

“기업 이익 대변하는 모순적 행정”

이날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네오테크밸리산단반대주민대책위는 청주시청 임시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단 조성 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청주시는 기업의 이익만 추구하고 미래 먹거리 산업인 농업을 져버리고 있다”며 “절대농지를 보존하고 농민을 보호해야 할 행정이 개발과 효율성 논리를 앞세워 기업과 자본을 대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8월 기준 청주의 산업단지는 26개로, 전체 면적 4만9150㎢에 달한다. 이는 충북의 전체 산단 141개의 11만1134㎢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것”이라며 “오창네오테크밸리 예정지 반경 10km에는 이미 10개가 넘는 산업단지와 소각시설이 밀집해있다”고 지적했다.

충북시민사회연대회의는 “오창은 전국 발암물질 배출 1위라는 오명을 갖고 있을 정도로 대기질 오염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그런데도 청주 내 3번째로 큰 대규모 산단을 그것도 미호강 바로 옆에 조성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충북도는 ‘수질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미호강 등 오염원 제거를 위한 정책을 발표한 반면, 미호강 하류에선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은 “수질개선 노력을 무력화하는 모순적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농민들은 지난 3년간 개발행위허가 제한지역으로 지정돼 재산권을 침해당했다"며 "이들의 생명권마저 위협하는 개발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민대책위는 “산업단지 예정지에는 절대농지를 비롯해 친환경 필지가 47ha를 차지하고 있다”며 “오창읍은 청원생명쌀 재배지의 55%를 차지하고 있으며, 오창읍에서 25%가량을 생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매년 축제를 열고 브랜드를 지원하면서 정작 생산지를 없애려고 하는 모순적인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이날 주민대책위는 산업단지 조성 반대 의견서를 관할 읍사무소에 전달했다.

2021년도 (주)신영에서 산업단지 개발 투자 의향서를 제출하면서 해당 부지가 개발행위허가 제한 지역으로 지정됐으나, 업체가 올해 3월 사업을 포기했다.

제한 지역 3년 만료를 앞두고 원건설, ED컴퍼니 등이 참여한 네오테크밸리피에프브이가 5월 투자의향서를 제출했다. 이에 청주시는 제한 지역 2년 연장 공람을 공고했다.

해당 사업은 총 사업비 1조7013억 원이 투입해 각리·농소리·종신리·신평리·탑리 일원에 399만여㎡ 면적의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