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의료 붕괴, 공공병원 확충으로 해결하라"
노동ㆍ시민단체, 충북도에 의료 정상화 대정부 건의 촉구
충북의 보건ㆍ의료 노동자들이 환자가 치료받을 병원을 찾아 전전하는 ‘응급실 뺑뺑이’가 계속되는 등 의사 인력 부족으로 인한 응급 의료 체계 붕괴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의대 정원 갈등이 장기화 되면서 지역 의료공백 해결을 위해 공공병원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9일 민주노총 충북본부와 시민단체 등은 기자회견을 열고 “충북도는 지역의 의료붕괴 현실을 정부에 전달하고 대책을 촉구하라”며 “의료공백 해소를 위해 지역 공공의료를 확충하고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 마련하라”고 규탄했다.
이들은 “지역 의료 대란에 대응할 공공병원은 예산 지원조차 없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의료연대본부 충북지부 문상미 사무국장은 "충북대학교 병원은 충북 지역 유일한 국립대 병원이자 3차 의료기관"이라며 "공공병원임에도 중증 환자를 수용하지 못해 2차 병원으로 전원하고 진료받으러 오는 환자들은 병원 문턱도 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인턴 전공의 15명의 업무를 5명의 응급의학과 교수가 대신하고 있다. 의사 혼자서 밀려 오는 응급환자를 수용할 수 없어 응급실 진료 구역을 한 곳 폐쇄했다"며 "윤 대통령은 ‘응급 의료가 문제없이 돌아가고 있다’고 하는데 이런 응급의료 현장이 정상으로 보이느냐"고 반문했다.
의료 환경이 열악한 충북 북부지역은 더 큰 혼란을 겪고 있다.
보건의료노조 충주의료원지부는 "북부 지역의 의료 공백 사태는 하루 이틀일이 아니다. 의료진 부족으로 응급 환자들이 타 지역으로 전원하는 상황이 벌어진지 오래"라고 지적했다.
또한 "건국대 충주병원은 응급실 의사 집단 사직으로 응급실을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만 운영하고 야간과 주간, 명절은 운영하지 않고 있다"며 "충주의료원은 응급실 병상을 2배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간호사 및 의료진 부족으로 중증 환자를 받지 못하고 경증 환자만 치료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도민의 생명과 안전은 공공이 지켜야 할 책임이 있다"며 "충북도는 코로나 19라는 위기를 겪고도 공공병원을 방치하고 악화시켰다. 공공의료원의 감염병 전담병원 회복기 지원 예산을 마련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한 "의료붕괴에 근본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민간 중심 의료체계를 공공의료 중심으로 재편해야 한다"며 "공공의료기관 비중을 OECD 평균인 55%까지 올리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충북도청과 도의회에 대정부 건의를 촉구하고 공공병원 재정 지원을 요구하는 건의서를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