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이동 못하는 '무장애 충북도청'은 거짓말"
충북장차연, 장애인 이동권 및 노동권 정책 추진 촉구
충북의 장애인 단체가 청사 개방화 계획에 관해 장애인을 염두에 두지 않는 충북 행정을 보여준다며 비판을 제기했다.
또한 2021년 합의를 이뤄낸 장애인 이동권과 자립생활권 등 권리 보장 정책을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29일 충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충북장차연)은 기자회견을 열고 충북의 열악한 장애인 이동권을 지적했다.
이들은 "충북도의 무관심은 장애인이 일할 권리, 노동권 정책에서도 부각된다"며 "중증장애인 권리보장 공공일자리가 여러 지자체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시행되는 데 반해, 충청북도는 계획도 없고, 시범사업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장애인 정책을 요구하면 매번 예산이 없다는 말로 회피하면서 도청 리모델링에 무장애를 운운하면서 예산낭비를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충북장차연은 "서관 정원은 계단을 길게 설치해 휠체어는 다닐 수도 없고, 옥상 정원의 절반은 휠체어가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는데 이게 어떻게 무장애 도청일 수 있느냐"고 비판했다.
충북장애인야학협의회 송상호 대표는 "김영환 도지사는 서관 앞 나무를 훼손할 때 무장애 인도를 만들기 위해 공사를 진행한다고 이야기했다. 청남대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이유도 교통약자를 위한다고 한다"며 "장애인은 행정의 홍보수단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도청 서관 앞에 누워 장애인의 사회적 억압을 상징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한편, 충북장차연은 지난 2021년 천막 농성, 집회 등 한달 여간의 농성 끝에 충북도와 합의를 이뤄냈다.
협의 내용에는 △ 2024년까지 저상버스 36.6% 도입 △2024년까지 특별교통수단 110% 도입 △자립생활권 보장 △광역이동 현실화 등이 포함됐다.
또한 올해 4월 20일 장애인차별철폐의 날에는 협의 사항이 전혀 이행되지 않고 있다며 28개의 세부 정책을 충북도에 전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