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의료원 재정난 해결, 충북도 예산 확충하라"

민주노총충북본부 "지역의료 핵심은 지방 의료원" 코로나 일선 의료노동자들, 재정난에 고용불안 충북 재정 지원 조례 개정 및 대책 마련 촉구

2024-07-17     이종은 기자

 

이날 결의대회에는 인천, 부산, 목포 등 전국 각지 보건의료노조가 참석 했으며 지역 노동단체 등이 함께 자리했다.
보건의료노조 조합원들이 지방 의료원 정상화를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국가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최일선에서 환자를 진료한 충북 공공병원들이 재정난에 허덕이는 가운데 충북 노동계가 지역 공공의료 살리기에 충북도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노총 충북본부는 17일 충북도청 정문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지방 의료원 재정 지원 확대를 위한 조례 개정을 촉구했다.

청주의료원과 충주의료원은 국가 감염병 전담병원이 해제된 이후 2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병상 가동률 50%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2017년~2019년 평균 병상 가동률인 90%에서 50%p 가량 떨어진 수치이다.

또한 감염병 전담병원 회복기 지원금예산 1000억 원 중 하위 등급으로 지정돼 지원금은 16억 원뿐이었다. 이에 지방 의료원을 살리기 위해선 충북도가 보조금 지원 조례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보건의료노조 충북본부 김경희 청주의료원지부장이 발언하고 있다.

 

“코로나 최일선 의료 노동자들 임금체불과 고용불안 시달려”

“20년 넘게 현장에서 일해왔습니다. 병원 재정은 항상 어려웠고 노동자들은 구조조정과 저임금에 시달렸습니다. 고생 끝에 2018년 청주의료원이 흑자로 돌아서면서 처우가 나아질 것이란 기대는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무참히 저버렸습니다.”

보건의료노조 충북본부 김경희 청주의료원지부장은 “청주의료원은 일선에서 감염병 환자를 돌봐왔지만, 남은 것은 154억 7000만원 적자뿐”이라며 “주 수입원이던 검진, 외래, 장례식장 등은 문을 닫아 매달 16억 5000만 원 적자를 보고 있다”고 한탄했다.

이어 “청주의료원은 공공어린이재활센터, 장애인 친화 검진, 성폭력 피해자 진료 상담 프로그램 등 지역 책임 의료기관으로서 역할하고 있다”며 공공병원 정상화를 위해 충북도의 재정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 양승준 충북본부장은 코로나19 감염병이 종식된 지 2년이 지났음에도 떠나간 의사들과 환자들도 돌아오지 않고 있어 필수 진료과와 병동은 폐쇄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역의 공공병원을 죽이면서 필수의료, 지역의료를 살릴 수는 없다”며 “충북도는 지방의료원이 기능을 회복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공공병원 의료 인력과 의료시설 및 예산을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노총 박옥주 본부장은 “치료 가능 사망자 수 전국 1위, 충북의 의료 현실은 전국에서 최하위 수준”이라며 “보건의료 노동자들은 고용불안과 임금체불에 시달리며 열악한 환경에 처해 충북의 의료 현실이 참담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경남과 충북을 제외한 전국 광역 시·도단체는 지방 의료원 정상화를 위해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며 “김 지사는 ‘충북의 의료 현실을 정상화시키겠다’고 말만 늘어놓는 것이 아니라 공공병원 정상화를 위한 예산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충북 지방의료원 설립과 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을 통한 보조금 지원 등 예산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결의대회를 마치고 5109명의 충북 지방의료원 재정지원 촉구 긴급서명을 도청에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