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교육청, ‘행복교육지구’→‘미래교육지구’로 이름 바꾼다

조례 개정 통해 명칭 변경, 돌봄·교육시 지역 경계 없앨 것 정책기획과, “온 지역이 배움터…지방소멸 막아보자는 취지”

2024-04-09     최현주 기자
충북교육청 행복교육지구 홈페이지 캡처.

 

김병우 전 충북교육감의 주력사업이었던 ‘행복교육지구’ 사업이 대폭 수정될 전망이다.

‘마을과 지역에서 아이들을 돌보고 교육한다’는 행복교육지구 사업의 기본 개념은 유지되지만, 명칭이 ‘행복교육지구’에서 ‘온마을 배움터 미래교육지구’로 변경되고, 사업 진행 시 학생들은 시군을 넘나들 수 있게 된다는 것이 충북교육청의 설명이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청주 행복교육지구 사업은 청주의 활동가가 청주의 교육장에서 청주 아이들을 대상으로 돌봄과 교육을 진행했다면, 앞으로는 청주의 아이들도 충주의 활동가로부터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충북교육청은 이러한 내용을 담아 행복교육지구 사업 관련 조례인 ‘충청북도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지원에 관한 조례’를 올해 안에 개정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도교육청 정책기획과에서 추진하는 것으로, 지난 2월부터 진행된 충북 각 시군 지자체장과의 정책간담회에서 구체화 됐다.

윤건영 교육감은 2월 21일 진천군을 시작으로 청주, 음성, 괴산, 증평, 제천, 충주, 옥천 군수 및 시장과 만나 △늘봄사업 △새로운 교육지구 △교육복합시설 구축 활성화에 대해 논의했다.

행복교육지구 사업은 두 번째 ‘새로운 교육지구’를 말하는 것으로, 도교육청은 영동군과 단양군의 정책간담회가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시군이 적극 찬성 입장을 보여 추진시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교육청은 영동군, 단양군과의 정책간담회를 각각 16일과 29일 진행, 4월 안에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도교육청 정책기획과의 한 관계자는 “(행복교육지구)사업 7~8년 차를 맞으면서 군의회·시의회에서 좋다고 하면 지역을 개방하는 쪽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자치단체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정부(교육부)에서 추진하는 교육(발전)특구 사업 색깔도 들어가 있다. 하지만 (행복교육지구 사업을 변경하는)가장 큰 이유는 지방소멸이 심화되면서 온 지역이 하나의 배움터가 되어, 교육이 매개체가 되어 정주 여건이 개선되고 지방소멸을 막아보자는 뜻이다”라고 변경이유를 설명했다.

또 “4월 12일 각 지역 교육지원청 행복교육지구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개편과 관련 앞으로의 방향 등 의견을 들을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행복교육지구 사업과 추진됐던 행복씨앗학교(혁신학교)는 윤건영 교육감 취임 이후 예산이 책정되지 않아 사실상 일몰사업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