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나가는’ 청주시 행정에 시민사회 분노
충북연대회의, “시청사 본관동 철거는 막장행정” 청주시가 제시한 본관동 존치근거 조목조목 비판
청주시가 18일 시청사 본관동 철거를 확정한 가운데, 시민사회단체가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청주시가 철거 근거로 제시한 이유를 반박하며, 청주시 행정은 ‘내 맘대로’라고 비판했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이하 충북연대회의)는 19일 기자회견을 열고, “청주시가 철거를 위해 주장하는 이유는 청주시의 직무유기 행정, 막장행정임을 스스로 드러내고 있다”며 “우리는 철거를 위해 무리한 거짓까지 남발하는 청주시 막장행정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앞서 청주시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결정한 본관동을 철거하기로 결정하고, 신청사 설계 또한 재공모 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청주시가 제시한 철거 근거로는 △본관의 왜색논란 △문화재청의 일방적인 강요에 의한 존치 결정 △존치할 경우 공사비 증가 등이다.
충북연대회의는 이날 기자회견문을 통해 본관동을 설계했던 건축가가 일본에서 공부했기 때문에 왜색이 짙다는 청주시의 주장은 철거명분일 뿐이라며 청주시는 왜색이라고 주장하는 근거가 무엇인지 분명히 밝히라고 촉구했다.
또 문화재청의 일방적인 강요로 본관동 보존을 결정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부끄럽기 짝이 없다”고 일축했다.
충북연대회의는 “당시에는 본관동의 문화재적 가치를 몰랐기 때문에 혼란을 겪었지만 내용을 알고 결국은 본치하기로 만장일치 합의했다. 본관동을 존치하기로 결정한 것은 문화재청의 강요가 아니다”라며 “당시 사회적 합의를 위해 노력했던 학자, 시민활동가, 공무원을 욕보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문제는 청주시가 2018년 시청사 건립 특별위원회에서조차 문화재청의 두 차례의 등록 권고를 숨긴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본관동을 철거하면 400억 원 가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청주시 주장에 대해, “지역의 정체성과 역사를 아우른 디자인은 배제하고 네모반듯한 건물을 지으려고 한다”며 “어느 지자체에서도 시도하지 않는 구태적인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부지확보와 설계를 위해 그동안 들인 100억 원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 “100억 원은 날리면서 본관 유지관리비 5억 4000만원, 본관 존치 추가 공사비 34억 원이 아까우냐”고 꼬집었다.
이외에도 청주시가 추진한 스팟스터디팀 용역과 관련, 용역을 수행한 충북건축사회는 청주시와 갑을 관계에 있는 이해충돌 당사자로 애초에 부적절한 용역이라고 비판했다.
충북연대회의는 “비민주적인 불통행정이 민주질서를 파괴하고 단체장 개인의 취향에 따라 역사를 말살하고 도시 정체성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며 “이범석 시장은 행정난맥상을 바로잡고, 청주시의 정체성을 지키는 민주적인 시장으로 거듭나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 건축 학계에서는 청주시청사 본관동 존치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지난 6일 안창모 경기대 건축학과 교수(근대도시건축연구회 회장)가 경향신문 기고를 통해 "청주시청사 본관동이 일본색이 짙어 철거를 해야 한다는 주장은 어처구니 없다"고 일축했고, 14일에는 한국건축역사학회에서 '청주시청사 본관 철거는 비문화적 행정'이라는 의견서를 발표했다. 또 17일에는 승효상 건축가가 ‘오래된 건축유산은 사회적 자산…청주시 옛 청사 철거 재고를’이란 제목의 시사칼럼을 발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