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시내버스 노선개편 시·운수업계 이견 실패

2017-09-27     뉴시스

청주시가 지난해 10년 만에 추진한 시내버스노선 개편 시행이 사실상 해를 넘기게 됐다.

  청주시와 운수업계가 개편 초기 이용객 감소에 따른 재정 지원 등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노선 개편 시행에 적어도 3개월 정도의 준비가 필요한 점을 고려할 때 올해 도입은 물 건너간 셈이다.

  청주시는 올해 초 시내버스 노선 개편의 방향을 잡고 지역 내 운수업체 6곳과 협의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시는 애초 지난 4월 노선 개편을 시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운수업계와 버스 증차, 재정 지원 등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해 연기했다.

  이후 8~9월 개편을 단행하려 했으나 입장 차가 여전해 시행이 지연됐다. 양측의 가장 큰 이견은 재정적인 지원이다.

  운수업계는 노선 개편이 추진되면 시민들이 혼란을 겪어 이용객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시내버스 회사는 이용객 감소에 따른 재정 지원을 시에 요구하고 있다. 특히 수익 구조가 안정될 때까지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시는 개편 초기에 일정 부분은 지원할 수 있지만 계속 지원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다만 버스업계의 의견을 수용해 운행 증차는 보류하기로 했다.

  시는 노선을 개편하면서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시내버스 운행을 기존 359대에서 389대로 늘리기로 방침을 세웠다.

  하지만 운수업체는 버스를 늘리면 운영비 등이 증가하는 데 이용객이 늘어나지 않으면 재정적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반대해왔다.

  시는 시내버스 노선 개편을 서두르기 위해 운수업계의 요구를 수용했다. 하지만 버스업체들은 재정 지원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일각에선 시민들의 발이 돼야 할 버스업계가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는 비판마저 나온다. 해마다 시로부터 막대한 예산을 지원받기 때문이다.

  실제 시는 무료 환승 보조금과 단일 요금제 시행에 따른 손실보전금, 재정 지원금 등으로 버스업계에 매년 200억원이 넘는 돈을 지원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운수업계가 노선 개편 협의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시는 올해 노선 개편이 어려운 만큼 내년 초 시행을 목표로 운수업계와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노선 개편을 하려면 3개월 정도 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류장 안내 방송 등 버스 운행 시스템 교체, 시민 홍보 등을 위해서다.

  시 관계자는 "운수회사도 시내버스 노선 개편에 공감하고 있지만 재정 지원 방안의 입장 차가 커 시행이 늦어지고 있다"며 "시민 편의를 위해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개편을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청주시는 시내버스 노선 개편 작업을 마무리한 상태다. 시는 2015년 12월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개편을 추진해왔다.

  2006년 조정된 시내버스 노선이 현재의 대중교통 수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에서다.

  시는 지난해 2월 '시내버스 노선 전면개편 연구용역'을 의뢰하는 등 개편 작업에 들어가 같은 해 11월 초안을 공개했다.

  최종 개편안은 중복·순환 노선 등을 대폭 줄여 기존 128개 노선보다 70개로 정해졌다. 노선을 수요자 중심으로 바꾼 것이다.

  지구단위 개발이 진행 중이거나 완료된 율량동과 성화동 지역의 시내버스 노선 운행횟수도 늘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