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 총장 외부 영입론 부상
총장·보직교수 집단사퇴 악순환 막아야
충북의 대표적 사학인 청주대가 4년 연속 부실대학에 지정되면서 지역 교육계가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번에 부실대학 오명(汚名)을 쓴 청주대와 유원대, 충북도립대 등 3개 대학은 그동안 정부의 재정지원 제한에서 벗어날 기회가 있었음에도 기회를 상실해 도민과 학생들에게 뼈아픈 상실감을 안겨줬다.
정성봉 청주대 총장과 보직교수들은 5일 사태에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이에 따라 정 총장은 김윤배·황신모·김병기 총장에 이어 부실대학 지정 사태를 해결하지 못하고 물러나는 4번 째 총장으로 기록됐다.
하지만, 차기 총장 역시 기존 프레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할 경우 청주대 사태는 걷잡을 수 없는 혼돈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그동안 청주대를 이끌어온 4명의 총장은 모두 내부 인물이다. 이를 두고 교육계에서는 내부인물로는 대학 발전을 이끌어 내는데 한계가 있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다른 대학도 마찬가지다. 유원대 채훈관 총장과 충북도립대의 함승덕 총장도 대학발전을 위해 결단을 내리고, 새로운 인물을 수혈해야 대학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설계가 가능하다는 논리로 귀결되고 있다.
유원대는 영동대에서 교명을 변경하는 등 부실대학 꼬리표를 벗어버리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충북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하고 있는 도립대 역시 총장의 능력이 한계에 봉착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4년 연속 부실대로 지정된 청주대는 정부의 재정지원제한 대학 발표가 있을 때 마다 총장과 보직교수들이 사퇴를 하고 대학발전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내놓았으나 모두가 공염불에 그쳤다. 내년부터 시작되는 2주기 평가도 크게 희망적이지 않아 특단의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크다.
청주대가 2주기 대학평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이사진이 선출하는 총장이 아닌 학내 구성원들의 검증을 거쳐 기획력과 업무추진력, 중앙 네트워크 등이 풍부한 외부인사를 영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도내 한 대학 관계자는 "충북에서 3개 대학이 부실대학으로 지정됐다는 것은 지역의 교육현실이 그만큼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앞으로 대학이 설자리 자체가 사라질지 모른 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