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5곳 신규 도시재생사업지역 확정
제천 저층형 노선상가 건립 충주 관아골 주변 경관 정비
충북 2곳, 충남 1곳, 대전 2곳 등 충청권 5개 도시가 올해 도시재생사업 지원 대상에 선정됐다.
정부는 18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어 ‘2016년도 도시재생사업 지원 대상지역 확정 및 특화구상’과 ‘도시재생사업 종합지원방안’을 심의 의결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공모로 선정된 전국 33곳의 지역에 맞춤형 지원사업이 시행된다. 세부적으로는 경제기반형 5곳,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 9곳, 일반 근린재생형 19곳이 선정됐다.
도시경제 활성화를 위해 6년간 최대 250억원을 지원하는 경제기반형사업에는 대전 중·동구가 지정됐다. 이들 구에는 충남도청 이전부지에 창조문화센터를 조성하고, 대전역세권에는 MICE산업을 유치해 새로운 경제 거점을 확보하기로 했다.
5년간 최대 100억원이 지원되는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에는 제천시와 충주시가 선정됐다.
제천시에는 업종전환을 통해 저층형 노선상가를 조성해 상권을 활성화하고, 노외주차장을 활용, 대학생 행복주택 등을 건립할 계획이다. 충주는 구도심 유휴시설 등에 청년창업 문화·예술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충주목 관아골의 경관을 정비한다.
일반 근린재생형 사업 대상지로 지정된 충남 아산시에는 장항선 모산역 이전부지에 어린이 체험문화 시설 등을 조성해 주변 신도시 지역의 문화·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키기로 했다. 낙후된 주민생활환경을 개선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이 사업은 지역마다 5년간 최대 50억원이 지원된다.
정부는 또 체계적인 도시 재생을 위해 도시재생지원기구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해양수산부, 고용노동부 등 관련 9개 부처의 협업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도시 및 올해의 관광도시 등 문화관광 콘텐츠사업과 생활문화센터 조성사업 등을 도시재생사업과 연계 지원한다.
중소기업청은 전통시장 정비, 청년창업지원, 상권활성화 사업 등을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 사업 등과 함께해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로 했다.
법무부는 빈집들이 많아 범죄구역이 되기 쉬운 쇠퇴지역 5곳 내외를 대상으로 범죄예방환경개선사업을 함께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도시와 농촌의 성격을 함께 갖는 도농복합 시·읍 지역의 도시 재생사업을 국토부와 공동으로 추진하고 농식품부 전문인력을 활용해 컨설팅 등을 지원한다.
국토부는 도심 연계계획 및 주택도시 기금 지원을 맡게 된다.
행정자치부는 마을기업 육성, 희망마을만들기 등 행자부의 공동체 소프트웨어사업 및 일자리 사업을 도시재생사업 지역에 우선 지원하기로 했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는 마을 단위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복지·돌봄 서비스를 확산하기 위한 협업연구 등을 맡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