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엄타운 성공할까…지역상권 반발이 '변수'
18년 동안 답보상태에 빠진 청주 밀레니엄타운 조성사업의 개발 방향이 잡혔다.
문화·관광 등이 어우러진 복합단지로 조성한다는 것이다. 시는 전체 공간 중 55%는 공익시설로, 나머지 45%는 민간자본을 유치해 수익시설로 채울 계획이다.
공익시설은 우선 가족도시공원을 만든 뒤 국비를 지원받아 해양수산문화과학관과 국제빙상장 등을 건립할 계획이다.
주목할 것은 민간자본 유치다. 밀레니엄타운 개발에 필요한 예산은 1조85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 중 76%에 달하는 1조4000억원이 민자에 해당된다.
밀레니엄타운 조성사업협의회는 청주국제공항으로 들어오는 중국 관광객을 겨냥해 민간 수익시설을 유치한다는 구상이다. 저가형 비즈니스호텔과 병원 등이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런 시설로는 협의회가 계획한 민간자본에 턱없이 모자란다. 게다가 민간 투자 수익을 공공시설 투자에 활용하기로 해 유치할 투자액은 더욱 늘어난다.
이런 이유에서 대기업 유치에 나설 것이란 소문이 돌고 있다. 협의회도 이를 부정하지 않고 있다.
지난 14일 개발 방향을 발표할 당시 협의회는 "시설 투자를 원하는 민간 기업이 있고 여기에 대기업도 관심을 두고 있다"며 "주거용 시설을 제외한 관광객을 위한 시설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대형 백화점과 명품 아웃렛 등도 들어설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이럴 경우 지역 상권이 반발하게 불을 보듯 뻔하다.
최근 논란이 가라앉은 청주 옛 연초제조창과 비슷한 사태를 겪을 수도 있다. 청주시는 민간 자본을 끌어들이기 위해 복합문화 레저시설에 대형 백화점, 아웃렛 등의 유치를 고려했다.
하지만 성안길 상인과 시민단체가 지역 내 동종업계의 과열 경쟁과 구도심 상권 붕괴 등을 우려하며 반발했다. 결국, 시는 지역 상권의 보호를 위해 대형할인점·백화점 등의 입점을 제한했다.
다행히 대기업의 무분별한 진출을 막기 위한 안전장치는 마련된 상태다. 협의회는 밀레니엄타운 개발 방향 합의문에 '유치할 수익시설은 지역 상권을 고려해 결정한다'고 명시했다.
이에 따라 협의회가 지역 상권과의 약속을 지키면서 목표한 민간 자본을 유치해 밀레니엄타운을 청주의 '랜드마크'로 바꿀지 관심이 모아진다.
밀레니엄타운 조성 사업은 1998년 민선2기 이원종 지사 때 시작됐다. 옛 종축장 부지 57만5604㎡를 청주의 랜드마크로 조성하겠다는 취지로 추진됐다.
이후 민선 단체장 3명을 거치며 여러 차례 개발계획이 세워졌지만, 한 발짝도 나가지 못했다. 이 때문에 '애물단지' 취급을 받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