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현 민주통합당) 의원이나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의원이나 뭐가 다를 게 있냐?’는 수군거림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전국적으로 다 그렇지만 충북도 예외가 아니다. 보수지역으로 통했던 충북의 총선 판이 갈린 것은 노무현 탄핵 뒤 실시된 2004년 17대 총선부터다. 홍재형 의원을 제외하고는 정치신인에 가까웠던 당시 민주당 후보들은 탄핵후폭풍에 힘입어 일제히 당선됐다. 한마디로 말해 싹쓸이였다.

그러나 당의 위기에서 그들의 정체성이 드러났다. 때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인기가 바닥을 기던 17대 대통령선거의 해 2007년, 18대 총선을 한 해 앞둔 해이기도 했다. 민주호의 선원들은 대선승부에 관심을 기울이기보다 혼자서라도 구명보트를 타고 탈출하는데 사활을 걸었다.

민주당 소속 A의원은 “대통령은 통절한 반성을 하고 정치행위를 중단해야한다”고 했다. B의원은 “노무현도 이명박도 아니고 이회창이 더 안정감이 있다”고 했다. 고위관료 출신인 그들은 사실 출발이 한나라당이었더라도 어색할 게 없을 터였으니….

그나마 색깔이 분명하게 구분되는 의원은 노영민이었다. 연세대 경영학과 76학번인 노 의원은 1977년 연세대 구국선언과 관련해 긴급조치 위반으로 구속됐고, 1980년에는 광주민주화운동과 관련해 수배, 제적됐다. 1990년 입학 14년만에 대학을 졸업한 노 의원은 고 김근태 전 의원이 이끌었던 ‘통일시대 민주주의 국민회의’의 지역조직인 ‘충북연대’에서 재야운동을 했다. 노 의원은 이른바 ‘GT(김근태)계’였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노영민 의원의 우클릭을 지적하는 여론이 송곳과도 같다. 지난해 5월 원내 수석부대표를 맡은 이후로 김진표 원내대표와 함께 당의 우경화를 이끄는 인물로 지목되고 있는 것이다.

“지도부 맡다보니 진중해졌다”

한미 FTA 국회비준이 끝내 날치기로 통과된 지난해 11월22일은 노 의원에게 낙인이 찍히는 날이었다. 물론 노 의원이 한미 FTA를 대놓고 찬성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찬성 절충파’로 여당의 강행처리의 명분을 줬다는 비난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노 의원은 또 미디어렙법 처리와 관련해서도 민주당과 언론·시민단체가 요구한 ‘종편의 즉각 위탁’, ‘소유지분 20% 이하’ 안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내용으로 여당 원내부대표와 잠정 합의했다.

노 의원 측에서도 변화가 일어났음을 시인하고 있다. 관계자 A씨는 “진중해졌다”고 표현했다. “지도부를 맡다보니 그런 것 같다. 수석부대표가 되고나니 무한투쟁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A씨는 “한미 FTA 비준은 날치기에 속절없이 당하기보다 피해대책에 대한 협상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화롭게 가려했던 것이다. 그래서 이제는 재협상을 주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악을 피해 차악을 택한 것이 우경화로 비춰졌다는 논리다.

A씨는 또 “386도 재선, 3선이 돼 당내 중요역할을 맡게 되면 선명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일부 놓칠 수도 있다. 반면 운동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삶을 살아온 사람들도 당내 입지가 없으면 오히려 좌클릭을 가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민주당과 후보전술을 꿈꾸고 있는 통합진보당 관계자 B씨의 말은 나타내는 바가 크다. “지역에선 노 의원이 그나마 전술적으로 가깝다고 여긴다. 그러나 중앙당에서는 표적공천을 해서라도 낙선시켜야할 타깃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