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희 충북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국장

충북지역 5개 일간신문이 모두 지역신문발전기금 우선지원대상사로 선정됐다. 놀라운 결과다. 우리 지역 신문들이 정말 정부 지원을 ‘당당히’ 받아도 될 만큼 ‘건강한’ 신문인가 하는 의문이 생겨난다. 선택과 집중이라는 원칙에 근거한 상대평가가 아니라 절대평가였다고 해도 도저히 받아들이기 힘든 결과다.

실질적 사주는 누구인가

지난해 10월 동양일보에서 주최하는 포럼에 참여했다. 처음 찾아간 동양일보에서 나는 동양일보 회장과 인사했다. 당시 받은 명함에는 분명히 동양일보 회장이라는 직함이 새겨져 있었다. 동양일보 홈페이지 회사소개 인사말에도 그의 사진과 말이 박혀있다.

회사소개란을 보면 회사명은 (주)씨엔엠으로 되어있고, 대표 이사명은 다른 이름이 실려 있다. 그런데 사람들은 왜 여전히 동양일보사로 부르고, 그를 동양일보의 실질적 사주라고 생각하는 걸까. 이상하다. 도저히 이해하기 힘들다.

신문을 발행하는 신문사가 제호로 된 상호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이상하고, 홈페이지에서도 대표로 인사를 하고 있고, 회사에 손님이 찾아와도 회장 명함을 건네며 인사를 하는 사람이 동양일보랑은 ‘법적으로’ 아무런 상관없는 사람이라는 게 이상하다. 어찌된 일인가.

동양일보사는 지난 2005년 2월 파산선고를 받았다. 파산 선고를 받기 전에 이미 (주)동양일보는 없어졌다. 2004년 11월1일 다른 발행인이 취임했고, 회사는 이미 (주)씨엔엠에 넘어간 상태였다. (주)씨엔엠은 동양일보 제호를 15억원에 사들였다고 한다.

이 가운데 11억원은 (주)동양일보가 빚진 돈이라 4억원만 건넸다고 지난 2005년 3월 충청리뷰가 <동양일보 제호 양도에 의혹의 눈길>에서 보도한 바 있다. 당시 실제로 돈이 건너갔는지조차 확인할 수 없다고도 했다. 이 문제는 씨엔엠과 동양일보사의 문제라고 하자. 그렇다면 파산채권은 어떻게 되었을까.

충청리뷰가 지난 2009년 11월에 보도한 <파산채권 139억원 휴지조각 될 처지>라는 기사에서는 2005년에 파산선고를 받은 동양일보사의 전체 139억원에 달하는 파산채권이 휴지조각이 될 처지라고 전했다. 특히 139억원 가운데에는 9억여원의 국세체납액과 40억원의 공적기관 채무액이었다 한다. 채권을 신고하지 않은 사람들의 몫까지 더한다면 그 피해규모는 상당할 거라는 얘기도 들려온다.

우리는 과거를 용서했는가

지역 신문사 하나가 무너지면서 많은 지역민들이 피해를 봤다. 그런데 이렇게 피해를 본 사람들이 많은데도 동양일보는 여전히 건재하다. 제호만 인수했다고 했는데 어찌된 일인지 똑같은 건물에 같은 사람들이 동양일보를 만들고 있다.

동양일보는 그대로 살아있는데 부채는 덜어내고 법적인 책임은 피해갔다. 오랫동안 아무도 문제제기를 하지 않고, 검찰도 나서지 않았다. 도대체 왜일까? 세상에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 걸까. 이 모든 게 법적으로 가능하다는 게 더 의문이다. 어디 나 뿐일까. 동양일보 파산으로 피해를 본 많은 사람들은 이 사태를 어떻게 생각할까. 법적으로 파산해 돈을 못 받게 됐다 해도 감정적으로도 용서를 했을지 궁금하다. 동양일보는 의혹의 눈길을 보내는 지역주민들에게 이제까지 그 어떤 해명도 하지 않았다.

상습적인 임금체불이 있었다, 연감 판매를 강요한다, 자치단체에서 받은 보조금 유용에 대해 경찰이 내사를 벌인다는 말도 종종 들었다. 게다가 최근에는 동양일보 회장이 불법대출사기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보도도 있었다. 어떻게 이런 신문에 공적 자금을 지원할 수 있나. 정말이지 왜냐고 묻고 싶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