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희 청주시 모충동장

청주는 인물을 키우려고 하지 않는다는 자조적인 말을 자주 듣는다. 한마디로 지역에 존경받는 어른이 적다는 이야기다.
왜 그럴까?
나는 이것이 그동안의 지역 문화 주체에 대해 혼동이 있어서가 아닌가 생각한다.ㅍ어느 지역이든 주된 문화의 창조자와 선도자가 있기 마련이다. 이런 문화의 주체들은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를 만들어가며 지역 정체성을 형성해 간다.

경주, 부여, 공주와 같이 나라의 수도가 있던 지역은 왕(王)이, 안동 같은 도시는 양반들이 문화주체일 것이다. 이런 도시의 문화주체들은 쉽게 지역민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도시 상품화(city marketing)에 큰 어려움이 없다.

그럼 청주의 문화를 만들고 이끌어온 주역들은 과연 누구였을까? 우리는 흔히 양반 가문임을 은근히 자랑한다. 그래서 없는 족보도 만들고 묘지도 크게 단장하곤 한다. 또 청주가 선비의 고장, 양반고을임을 강조한다. 아니 강조하고 싶어한다.

그런데 선비문화의 흔적이 차별성 있게 다가오지 않으니 그것이 문제다. 그렇다고 청주에 천민문화가 주류를 차지했던 것은 물론 아니다. 오히려 살기 좋은 자연 환경을 끼고 중앙에 필적할 만큼 지역세력이 강성했던 지역이다.

그럼에도 청주 역사와 관련된 중요한 사건을 살펴보면 대부분 이름 없는 민중들과 관련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름없이 묻혀 있지만 그 유물로 지역의 강성했음을 말해주고 있는 신봉동의 고분 주인들, 금속활자로 ‘직지’를 인쇄했던 흥덕사의 스님들, 임진왜란 당시 청주성 탈환에 앞장섰던 의병들, 외세의 침략에 맞서 동학농민전쟁에 앞장섰던 농민들, 일제치하 독립을 위해 앞장서 피를 흘린 애국지사들.

청주 역사의 큰 줄기는 이렇게 영웅호걸이 아니라 이름 없는 대다수 민중들이 이어온 것들이었다. 어찌보면 역사란 위대한 위인에 위해, 혹은 영향력 있는 위정자에 의해 그 흐름을 지켜왔다기 보다는 힘은 없지만 끈끈한 생명력을 지닌 민초들의 결집된 힘에 의해 그 흐름을 바꿔왔다고 할수 있다.

지금 21세기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지식정보 시대이다. 이 시대의 주인공은 왕이나 영웅 혹은 특정계층이 아니라 변화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모험정신이 충만한 개개인들이다. 이들의 힘은 월드컵과 대통령선거를 통해 표출되면서 이제 새로운 문화의 주인공으로 자리잡고 있다.

청주문화의 주체가 누구일까라는 질문의 답이 일반민중이라면, 그래서 어떤 영웅이나 위인의 출현을 바랄 필요 없이 우리 모두가 청주문화의 주체라고 인식한다면 좀더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우리 고장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해 고민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