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순원 시인, 충북대 강사

   
‘가정의 달’이다. 옛날 우리 가족의 모습을 풍성하고 흥겹게 그린 시가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요즘 들어 많은 한국시 연구자들 사이에서 김소월이나 정지용만큼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는 백석의 작품이다. 시끌벅적하면서도 조화롭다.

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얼굴에 별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너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고무 고무의 딸 이녀 작은 이녀/

열여섯에 사십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고무 고무의 딸 승녀 아들 승동이/

육십 리라고 해서 파랗게 뵈이는 산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든 말끝에 설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골 고무 고무의 딸 홍녀 아들 홍동이 작은 홍동이/

배나무 접을 잘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 섬에 반디젓 담으러 가기를 좋아하는 삼춘 삼춘엄매 사춘누이 사춘동생들/

이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에들 모여서 방안에서는 새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구떡 콩가루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볶은잔디와 고사리와 도야지비게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저녁술을 놓은 아이들은 외양간 섶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꼬리잡이를 하고 가마타고 시집가는 노름 말타고 장가가는 노름을 하고 이렇게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밤이 깊어가는 집안엔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르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윗간 한 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돌림 하고 호박떼기 하고 제비손이구손이 하고 이렇게 화디의 사기방등에 심지를 몇 번이나 독구고 홍게닭이 몇 번이나 울어서 졸음이 오면 아랫목싸움 자리싸움을 하며 히드득거리다 잠이 든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침 시누이 동서들이 욱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틈으로 장지문틈으로 무이징게국을 끓이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여우난골족」

1930년대 작품이라 한자를 한글로 바꾸고,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수정했다. 평북 방언이 섞여 있어 낯선 어휘들이 눈에 띄지만, 대충 짐작을 하면서 읽으면 시 전체를 감상하는 데는 크게 무리가 없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등장하고, 음식이 나열되고, 어린 아이들의 놀이가 나온다.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고, 새벽은 새벽대로 “욱적하니 흥성”거린다. 어른들은 어른들대로 아이들을 아이들대로 모이기만 하면, 할 일 다 알아서들 하면서 잘 논다. 이 정도면 어린이날이나 어버이날이 따로 필요 없을 듯하다. 1912년에 태어난 백석의 어렸을 때 이야기이니, 지금으로부터 8, 90년 전의 장면이다.

이 작품을 발표된 1930년대만 하더라도 이미 가족공동체의 붕괴가 진행되어, 어른이 된 백석이 자신의 풍요로웠던 유년기를 회상하면서 그 상실감을 노래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지만, 지금도 연세가 지긋하신 분들 중에는 시의 내용과 같은 체험을 하신 분들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어느 순간 일제히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같은 시멘트로 지은 건물로 들어가 살기 전의 기억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시에 나온 장면들이 어렵지 않게 그려질 것이다. 그래서 사실 따지고 보면 그리 오래 전의 일도 아니다.

그러니 우리가 세계 몇 위 경제대국도 되고 또 웬만하면 핸드폰도 다 하나씩 가지고 살게 되면서 이런 것 저런 것 다 잃어버리고, 어린이날이니 어버이날이니 하면서 새삼스럽게 구는 것이다. 생각해 보면 ‘가정의 달’이라는 말도 좀 우습다. 부모가 자식에게, 자식이 부모에게, 그리고 가정은 삶 그 자체여야지, 어버이날이라고 부모님 은혜에 특별히 감사하면서 빨간 꽃 하나 달랑 달아드리는 것은 참 쑥스러운 일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