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교육장 “정치적인 것 말고 정해진 교육과정 대로 하자는 취지” 해명
충북도교육청 관계자 “계기수업에 정해진 입장 없어”

지난 14일 충북도청 서문앞에서 진행된 '윤석열 탄핵 충북도민 총궐기대회'에  참석한 학생들. 이날 집회에 1만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초중고 소속 학생도 어림잡아 1천여명 참석한 것으로 추정됐다. (사진=김남균 기자)
지난 14일 충북도청 서문앞에서 진행된 '윤석열 탄핵 충북도민 총궐기대회'에  참석한 학생들. 이날 집회에 1만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초중고 소속 학생도 어림잡아 1천여명 참석한 것으로 추정됐다. (사진=김남균 기자)

 

12‧3내란사태 혐의로 윤석열 대통령이 피의자 신분으로 수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충청북도 음성교육지원청 교육장이 간부회의에서 (계엄령) 탄핵 계기수업을 하지 않도록 지시한 것으로 전해져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일선 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비상계엄 계기교육’이 진행됐다.

현재 2000여명의 교사들이 참여하고 있는 ‘전국역사교사모임’ 홈페이지에는 교사들이 올린 계기수업 자료도 공유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16일 충북도교육청(교육감 윤건영) 산하 A 음성교육장이 간부회의를 통해 계엄령과 탄핵과 관련된 계기수업에 대해 이를 문제삼은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충북교육청 소속 한 직원은 본보에 “16일 오전  음성교육지원청 A교육장이 간부회의에서 ‘탄핵 집회에 나가지 말 것’, ‘(계엄령) 탄핵 관련 계기수업을 하지 말 것’ 등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A교육장은 “(대통령) 탄핵(사유) 같은 정치적인 것에 아이들한테 그런 (계기)수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정상적인 수업을 하자”라고 했다며 “우리가 늘 해왔던 것처럼 교육과정을 정상적으로 운영하자는 것이였다”고 해명했다.

또 “집회를 나가지 말라고 하지 않았다”며 “학교 운영위를 거치지 않은 체험학습이라든지 다른 행사를 할 때는 ‘상식적인 수준에서 해라’는 의미였다”고 말했다.

그는 “‘집회에 나가지 말라’가 아니고 ‘집회에 나가서 물리적으로 다치거나 이래서는 안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충북교육청 관계자 “계기수업 관련 정해진 입장 없다”

음성교육장 A씨가 계엄령이나 탄핵 관련 계기수업을 “정상수업이 아니다”라고 말했지만, 이번 탄핵사태가 발생한 이후 다수의 고등학생과 초등학생들 야광봉을 들고 집회에 나왔다.

충북 청주의 경우도 충북도청 서문앞에서 지난 12월 4일부터 14일까지 총 아홉 번 탄핵촉구 집회가 열렸다.

평일에는 50~100여명의 학생들이 집회에 나오다가, 탄핵이 가결된 지난 14일에는 1000여명 가까운 학생들이 집회에 참석해 ‘민주주의’를 외쳤다.

초등학생 까지 거리에 나와 ‘계엄령 반대’,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외치는데 비해, 충북교육청의 침묵은 길어지고 있다.

충북교육청 관계자는 “15일 긴급비상대책회 도중 지역 B교육장이 (계엄령이나 탄핵과 관련된) ‘계기수업’에 대해 질문이 있긴 했다”면서 “윤건영 충북교육감은 ‘교육부에서 방침을 정한 것이 없다’며 ‘(교육부에서 방침이 내려오면) 전파하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어제 회의에서 교육감님은 참석자에게 ‘이쪽이든 저쪽이든 우리가 구설에 휘말리지 말고 교육의 중립성을 지키기 위해 중심을 잘 갖고 가자’고 말했다”며 “계기수업에 관련해서 ‘된다, 안된다’고 언급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