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조치를 강행한 가운데 충북도내 기업의 화학·기계·반도체 등의 일본 수입 의존도가 90%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인영 충북도 통상수출전문관은 28일 충북연구원 중회의실에서 열린 '일본 수출규제 대응전략 모색을 위한 전문가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 통상수출전문관은 "2018년 기준 충북의 수출입 구조를 분석한 결과 화학, 기계, 전기전자·반도체, 철강·알루미늄, 플라스틱 등 5대 품목 수입에서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이 90%에 이른다"고 말했다.

이어 "앞서 2천여개 수출기업 대상으로 일본 원재료 수입현황을 전수 조사했는데 영향이 우려되는 140개사 가운데 67개사가 '영향이 있다'고 응답했다"며 "업종별로는 기계·전자·반도체 순"이라고 설명했다.

도에 따르면 '영향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기계 19곳, 전자 11곳, 반도체 11곳, 바이오·화장품 8곳, 화학 7곳, 농식품 4곳, 플라스틱 4곳, 기타 4곳 등이다.

이날 일본의 수출규제로 한국의 관련 산업 매출이 1% 감소할 경우 충북에는 721억 원이 넘는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설영훈 충북연구원 연구위원은 "반도체 중심의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통신장비 제조업은 충북의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명실상부한 핵심 산업"이라며 "수출규제가 전기전자, 정밀기기 등 제조업 중심의 충북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한 충북의 부가가치 손실액은 721억3천만 원에 달하며 이는 2017년 기준 충북 지역내총생산(GRDP)의 0.12%에 달하는 규모"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충북에 이 같은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면 경기·서울·충남 등에도 악영향을 미쳐 이들 지역의 생산과 부가가치,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설 연구위원은 지역 내·산업 간 부품수급의 생태계 활성화, 수입 및 수출선 다변화, 경제 체질의 근본적 개선, 부품 국산화 등을 대응 방안으로 제시했다.

설 연구위원은 "지역 내 부품 수급의 선순환 생태계 활성화가 시급하다"며 "중장기적으로 자체 기술력 확보를 통한 근본적인 경제체질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단기적인 타격이 불가피한 중소 협력업체의 경우 경제적인 충격 완화를 위한 비상지원시스템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도는 도내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소기업 특별경영안정자금 150억원 지원, 구매처 발굴·변경 지원사업 안내, 소재·부품 국산화 R&D사업 발굴·외자 유치 지원, 수출 촉진 지원, 영향 우려 기업 67곳 특별관리, 규제 개선 건의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