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역만의 컨텐츠와 방법으로 문화원 자리매김
청주문화원, 청주에 맞는 방법으로 벤치마킹해야

청주문화원 운영방법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타 지역 문화원 우수사례가 눈길을 끌고 있다.

타 지역 문화원 중에는 기존의 유물·유적연구에서 벗어나 그 지역만의 컨텐츠를 활용한 사업과 독특한 기획력으로 지역민들의 문화구심점으로 거듭나고 있는 곳이 여럿 있다.

문화산업에 승부수를 던진 강릉문화원, 지역의 컨텐츠를 살리기 위해 지역 속으로 직접 들어간 이천문화원, 지역 컨텐츠를 적극 활용한 태안문화원에 대해 알아본다.

 

문화산업에 승부수 던진 강릉문화원

 

강릉문화원은 우선 외형으로만 봐도 다른 지역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직원 30여명에 한해 예산만 무려 80억 원이 넘는다. 이중 강릉시로부터 지원받는 예산은 5억원에 불과하다.

현재 강릉문화원은 운영 및 사업영역에 있어서 전국적으로 ‘모범문화원’으로 꼽힌다. 전국 각지에서 벤치마킹을 위한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청주문화원 임·직원들도 강릉문화원을 방문한 적이 있다.

강릉문화원 특징은 한마디로 문화산업에 승부수를 걸었다고 할 수 있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폭넓은 문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역 문화콘텐츠 조사연구 및 발간사업 △(지역)문화예술교육사업 △지역문화 인프라 구축사업 △외국인 지역문화 교육지원사업 △지역 학술연구&문화예술사업 △지역문화행사 △예맥아트센터운영 등 실로 다양하다. 기획사업부터 지자체 공모사업, 위탁사업, 입찰 및 용역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는 것.

예를 들어 강릉문화원은 강릉지역에 있는 설화를 이용해 인형극으로 만든다. 그리고 무대에 올려 시민들에게 유료 판매한다. 인형극 제작비는 도비와 시비로 충당하고 티켓 판매수익은 남겨 다시 다음 사업에 재투자하는 방식이다.

 

<출처 : 강릉문화원 홈페이지>

 

강릉문화원은 이런 방식으로 매년 5~7억 원 가량의 수익을 남기고 있다. 강릉시 지원이 5억원, 회원 130여명으로부터 받는 회비가 1000여만 원인 것과 비교하면 5~7억 원이라는 수익은 적은 금액이 아니다.

심오섭 사무국장은 “문화원 운영방식을 바꿨기 때문에 얻은 결과”라고 말했다. 즉 기존의 문화원 운영방식이 지역역사와 유물연구에 머물렀다면 보다 적극적으로 문화산업, 수익사업에 뛰어들었다는 얘기다. 심 국장은 “그렇다고 그 수익이 개인이나 단체의 영리를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비영리기관으로 이윤을 남기는 사업을 하되 그 이윤은 다시 강릉시민에게 환원된다”고 설명했다.

심 사무국장은 “강릉문화원이 문화산업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것은 그것이 강릉문화원의 살길이자 갈 길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덧붙혔다.

강릉문화원은 3년 전 비영리기관이지만 수익사업을 할 수 있도록 정관을 개정했다. 연방희 세무사는 “비영리기관도 얼마든지 수익사업을 할 수 있다. 정관 3조 문화원 목적에 수익사업을 할 수 있다는 문구만 첨가하고 세무서에 신고만 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심오섭 강릉문화원 사무국장은 “문재인정부 문화정책의 핵심은 지자체 이관이다. 지자체 스스로 자리를 잡아야 한다. 역할찾기에 집중해야 한다는 얘기다. 원장님과 사무국 직원들 의지만 있다면 가능하다. 문화원은 회원들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역 속으로 직접 들어간 이천문화원

 

인구 22만 56년 전통을 지니고 있는 이천문화원은 이천의 컨텐츠를 기록하고 ‘사람을 남기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시민기록자를 양성해 이들이 직접 마을 곳곳을 다니며 일반 주민들의 역사와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기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

이동준 사무국장은 “2012년 지역문화진흥법이 제정되면서 지역문화와 생활문화 개념이 등장했다. 문화가 지역이라는 공간과 현재라는 시간 속에서 그리고 지역주민의 일상적 생활 속에 피와 살을 가진 구체적인 모습을 하고 나타나야만 지역문화가 제대로 뿌리내리고 생활문화가 꽃피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천문화원은 2017년 6월 ‘시민기록자 양성과정’을 개설, 30명의 시민들이 이 과정에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이천시 마장면 관리 곳곳을 다니며 마을 주민들의 이야기를 모아 지난해 12월 ‘양각산 선비마을’이라는 책을 발간하기도 했다.

 

이천 주민들이 시민기록자로 참여해 만든 '양각산 선비마을'. 시민기록자들은 직접 취재와 글, 편집과정에 참여했다.

 

지난해 3월에는 이천에 있는 노거수 71그루에 대한 이야기를 수록한 ‘이천의 노거수’를 발간해 눈길을 끌었다. 이천시민이 직접 이천의 각 마을을 방문하여 노거수와 지역주민을 만나 나무에 얽힌 이야기, 나무의 역사에 관한 구술 자료를 채록하고 사진과 글로 기록했다. 여기에는 자영업 종사자, 사진작가, 화가, 시인, 공직은퇴자 등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는 이천 주민 20여 명이 시민기록자로 참여했다.

또 이천문화원은 사라져가는 이천의 노래 113곡을 파일로 만들어 언제라도 들을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다.

 

이천문화원 홈페이지 캡쳐

 

이외에도 △주말문화탐방 △설봉문화제 △다사리문화기획학교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동준 사무국장은 “이천문화원은 생활문화에 방점을 두고 있는데, 생활문화란 과거 특권층이 남겨놓은 ‘기름진 삶의 양식’이 아니라 주민 스스로 그들 자신의 삶의 방식과 삶의 기술을 생활속에서 양식화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과거에는 기록작업이 권력자 중심, 중앙사 중심의 실록편찬으로 이루어졌다면 이제는 지역민들이 삶의 주체로 나서서 주민 관점에서 지역의 역사와 이야기를 발굴하고 새롭게 써내려가는 시대가 되었다”라고 말했다.

 

지역의 특징을 활용하는 태안문화원

 

태안문화원은 자염 등 지역의 특징적인 해양문화를 발굴하고 이를 활용하는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즉 태안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해양문화 자원을 계승·보존하고 해양문화유산을 특화 시킬 수 있는 특색있는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있는 것.

정지수 사무국장은 “태안문화원은 현재 자염 무형문화재 지정을 위해서 주력하고 있다. 또 전통소금문화자염을 복원하고 연구하며 이와 관련된 축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태안문화원은 ‘향토유물 기증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는 지역과 관련된 생활유물을 수집하고 그에 담겨있는 실제 이야기를 스토리로 묶어서 관리하는 사업이다. 영상, 사진 등 복합자료를 확보해 근·현대 민속사료를 정립한다는 목적이다.

정 사무국장은 “유물·유적을 보존하고 계승하는 것은 문화원의 고유 업무이다. 당장 활용을 못해도 미래자원으로 보존한다면 언제든지 지역사회의 재산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거기에 얽혀 있는 스토리를 담아놓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맷돌이 기증되었다면 누가, 언제, 어디서 구입해서 무슨 용도로 언제까지 사용되었는지, 그 물건과 관련된 에피소드 등을 텍스트나 기증자 영상을 통해서 항상 함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태안문화원이 운영하고 있는 작은영화관 실내전경<출처 : 태안문화원 홈페이지>

이외에도 태안문화원은 작은영화관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건립된 작은영화관은 35석, 64석 2개관으로 365일 운영된다. 종사하는 직원은 7명이다. 최신개봉작을 다른 지역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관람할 수 있다. 지난해에는 6만 8000여명이 작은영화관을 다녀갔다.

정지수 사무국장은 “고도화되고 있는 지역주민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수요 충족을 위해 앞으로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을 심화하고 생활문화기능과 청년관련 프로그램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태안군 지역내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과 태안문화 진흥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류 시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협력사업을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