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담화/ 박소영 사회문화부 부장

박소영 충청리뷰 사회문화부 부장

청주공예비엔날레가 지난 22일 폐막했다. 1999년 시작한 공예비엔날레는 올해로 10회째, 20년의 세월을 청주에서 보냈다. 올해 청주공예비엔날레를 보면서 생각이 많아진다. 그간 청주공예비엔날레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올해는 정말 어느 해보다 파격적인 실험을 했다. 그 실험의 결과물에 대해 지역사회는 이제부터라도 냉정하게 따져봐야 한다. 2년마다 50~70억원 가까이 사회적 자본이 투입되는 비엔날레가 청주와 청주시민에게 무엇을 남겼는지, 앞으로 무엇을 남길 건지 해야 할 이야기가 너무나도 많다. 물리적인 숫자로 따지면 700억원에 가까운 돈을 쓴 셈이다.

청주공예비엔날레는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들의 유일한 미술국제행사이고, 미래세대의 유산이다. 그런 점에서 10회 비엔날레는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청주비엔날레를 보면서 왜 비엔날레 조직위가 지역을 소비하는 방식은 꼭 사람이어야 하는지 의문이 든다. 예총, 민예총 인사들로 구성된 10명의 라운드테이블이 과연 지역성을 담보하는 것일까. 지역성도 그렇고, 정체성도 그렇고 이 어려운 과제에 대해 전국의 어느 도시도 뚜렷한 답을 내지 못하는 상황이 아닌가. 공예비엔날레의 정체성은 또 얼마나 할 말이 많은가.

선한 의도가 꼭 선한 결과를 내지는 못한다. 10명의 공동감독과 비엔날레 조직위가 진정성을 갖고 출발했겠지만 결론적으로 둘 다 준비가 덜 돼 있었다. 물리적인 시간도 부족했다. 이렇게 된 데는 청주시 문화행정의 구조적인 문제도 있다고 본다. 비엔날레를 준비하는 기간은 오롯이 2년이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1년도 안 된다. 준비기간 동안 예산은 3억원에 불과하다. 전체 57억원의 예산 가운데 적어도 10%는 준비기간에 써야 한다.

이번에 공동감독 문제도 그렇다. 진정 감독이라면 권한이 있어야 했고, 권한을 부여하는 게 맞다. 그럴 자신이 없으면 감독을 선임하지 말아야 했다. 차라리 공동감독을 선임할 때 지역의 기획자를 등용하고 싶었다면 그들의 낸 기획서를 보고 선택했어야 한다. 감독이 자기 기획서도 없이 예총과 민예총 회원이라고 추천되는 것도 맞지 않다.

비엔날레 조직위가 지역을 소비하는 방식은 늘 이랬다. 지역의 작가들을 위한 전시회를 따로 열어준다거나 작품을 몇 점 함께 전시했다는 것으로 지역을 말했다. 그게 정말 지역의 작가들이 원하는 것일까, 지역을 위한 일이었을까. 만약 지역 작가들이 그런 것을 조직위에 요구했다면 작가들의 생각부터 바뀌어야 한다.

우리는 좀 더 투명해져야 한다. 비엔날레 조직위는 그들이 해야 할 역할에 충실해야하고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해서는 지역사회와 머리를 맞대야 한다. 20년이 지나면서 이미 문제점은 많이 돌출됐다. 특히 이번의 실험들을 통해 서로의 한계와 가능성을 분명히 봤다. 100년 후에도 청주공예비엔날레가 존재하려면, 2017년 지금의 일들을 잘 기록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북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